본문 바로가기

수륙재(水陸齋)

by 정암 2011. 5. 24.
반응형

수륙재(水陸齋)

 수륙회, 수륙무차평등재의, 국행수륙대재 라고도 하며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고독한 영혼과 아귀를 달래기 위해 불법(佛法)을 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

 중국의 양무제(梁武帝)때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스스로 의식문을 만들어 505년에 금산사(金山寺)에서 재(齋)를 베풀었다. 송대에는 동천(東川)이 수륙문(水陸文)을 지어 널리 보급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광종 21년 갈양사(葛陽寺)에서 수륙도량을 연 것이 효시다.
조선조에선 억불에도 불구하고 수륙재는 맥을 이어갔다. 태조 이성계는 진관사(津寬寺)를 국행(國行) 수륙재를 여는 사찰로 지정하였다. 하지만 수륙재가 국행(國行)으로 치러지는데 대해 유생들의 반대가 극심했다. 그러다가 중종대에 이르러서야 국행시연이 금지된다. 이 정도로 조선 초에는 불교문화의 맥이 계속 이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수륙재의 의식절차는 여러 가지 문헌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먼저 수륙재를 올리는 취지를 밝힌다. 그리고 영신(迎神)과정으로 명부사자와 오방신, 불법승 삼보를 맞이해 공양한다. 이어 호법선신(護法善神)등을 맞이해 들인다. 그후에 천도할 영혼을 청한다. 이른바 청신(請神)과정이다. 이들에게 음식을 공양하고 오신(娛神)과정으로 범패(梵唄) 등의 불교예술이 시연된다. 태징, 요령, 목탁, 피리 등 여러 악기가 등장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물가에서 많이 치러진다.

수륙재

수륙회,수륙무차평등재의,국행수륙대재,라고도 하며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과 아귀를 달래며 위로하기 위하여 불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으로 그 시초는 중국 양나라 무제가 유주무주의 고혼들을 널리 구제함이 제일가는 공덕이라 생각하고(일설에 의하면 양무제의 꿈에 어떤 신승이 나타나 말 하기를 육도 사생의 중생들이 한 없는 고통을 받고 있거늘, 어찌하여 수륙재를 베풀어 그들을 제도하지 않는가? 이 들을 제도하는 것이 모든 공덕 중에 으뜸이 되느니라 하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스님들과 상의하여 수륙의문을 만들게 하고 그 의식문에 따라 서기 505년 중국 금산사에서 시행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수륙재가 실행된 것은 고려 광종 때(971) 수원 갈양사에서 혜거(惠居)국사가 시행한 것이 그 최초의 예이며 억불정책으로 불교의식이 유교의식으로 많이 바뀌어 졌던 조선시대에도 수륙재 만큼은 국행으로 성행 하였으나 중종 때에 이르러 유생들의 강력한 반대에 의해 국행으로 실행 됨이 금지되었고 민간을 통해서 전승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유(須臾)  (0) 2011.05.24
수월관음(水月觀音)  (0) 2011.05.24
수미산(須彌山)  (0) 2011.05.24
수두(水頭)  (0) 2011.05.24
수념처(受念處)  (0) 2011.05.24
사리(舍利 Sarira)  (0) 2011.05.21
수계(授戒)  (0) 2011.05.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