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살46

지근무소외(知根無所畏) 지근무소외(知根無所畏) 보살 4무소외의 하나. 보살은 중생의 근기를 잘 알아 법을 말하므로 조금도 두려운 마음이 없음. 2020. 8. 1.
대지(大地) 대지(大地) 견도(見道)이상의 보살이 수행하는 지위. 점차를 10지(地)로 나누고, 그 중에서 높은 지위를 대지라 한다. 2020. 7. 23.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堤下化衆生)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堤下化衆生) 보살의 마음. 위로는 보리를 구하는 동시에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것. 성문 ․ 연각이 자기만 깨달으려는 것과 다름을 말함. 2015. 10. 16.
법화일승(法華一乘) 법화일승(法華一乘) 법화경에서 밝힌 일승 진실한 교법. 화엄경, 방등경, 반야경등에도 얼마쯤 원리(圓理)를 포함하였거니와 순원독묘(順圓獨妙)한 보살 일승의 교법을 말한 것은 법화경뿐이라는 말. 관련글 : 법화경 방등경 반야경(般若經) 2015. 8. 6.
삼승교(三乘敎) 삼승교(三乘敎) 성문·연각·보살의 근기마다 그에 대한 교법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수행·증과(證果)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교법. 관련글 : 삼승(三乘) 2015. 6. 15.
보살동사행(菩薩同事行) 보살동사행(菩薩同事行) 보살의 중생의 근성(根性)을 따라 그 가운데 섞여있어서 중생들과 같이 여러가지 사업을 하면서 차차 중생을 교화하여 진리에 이끌어 들이는 행동 관련글 : 보살(菩薩) 2015. 4. 27.
유동보살(儒童菩薩) 유동보살(儒童菩薩) 유동은 범어 마납박가의 번역. 정행(淨行)을 닦는 젊은 보살. 2015. 4. 9.
마하살(摩訶薩) 마하살(摩訶薩) 마하살타의 준말. 대유정(大有情0, 대사(大士)라고 번역. 보살을 지칭하는 다른 말. 보살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대원(大願) 대행(大行)을 가진 사람임으로 마하살이라 하며, 부처님을 제하고는 중생 가운데 맨 윗자리에 있음으로 대(大)자를 더하여 대사, 대유정이라 한다. 2014. 7. 22.
삼종퇴굴(三鐘退屈) 삼종퇴굴(三鐘退屈) 보살 수행의 1계(階)인 자량위(資糧位)에서 일으키는 퇴굴심의 세가지. 1. 보리광대굴(菩堤廣大屈) 부처님의 지혜가 광대 심원(廣大深遠)하다 함을 듣고 퇴굴심을 내는 것. 2. 만행난수굴(萬行難修屈) 육바라밀의 행이 수행하기 어렵다 함을 듣고 퇴굴심을 내는 것. 3. 전의난증굴(轉依難證屈) 번뇌장, 소지장을 버리고 대열반, 대보리의 깨달음이 얻기 어려움을 생각하여 퇴굴심을 내는 것. 관련글 : 보리 (菩提) 육바라밀(六波羅蜜) 번뇌장(煩惱障) 2014. 6. 2.
무성(無性) 무성(無性) 불성(佛性)이 없는 것. 보살, 성문 연각이 될 성품이 없는 것. 무루(無漏)의 종자가 없는 것. ↔ 유성(有性) 관련글 : 불성(佛性) 무루(無漏) 무루종자(無漏種子) 2014.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