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구21

걸사(乞士) 걸사(乞士) 비구는 모근 생업을 끊고 법을 빌어서 몸을 기르고 또 법을 빌어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이르므로 걸사라 한다. 2020. 7. 19.
누진비구(漏盡比丘) 누진비구(漏盡比丘) 누(漏)는 번뇌. 번뇌를 끊어 없애어 빛이나 향기 따위에 물들지 않는 비구. 곧 아라한(阿羅漢) 관련글 : 아라한 비구( 比丘, Bhiksu ) 2015. 5. 29.
적주(赤酒) 적주(赤酒) 아직 구족계를 받지 못한 이가 비구 대중 가운데 있으면서 송사(訟事)를 같이하는 것을 말함. 2014. 7. 14.
화합중(和合衆) 화합중(和合衆) 범어 승가(僧伽)의 번역. 적어도 3~4인 이상의 비구가 함께 화합하여 수행하고 서로 어기지 않음을 말한다. 화합승과 비슷한 말 2014. 2. 2.
아야교진여 아야교진여 5비구의 한사람. 아야는 잘 알았다는 뜻. 교진여는 성. 최초를 부처님의 교화를 받고 잘 안 사람을 표현하는 것. 가비라국의 바라문 종족. 점을 잘 하였다. 세존이 출가하여 니린선하의 가에 있는 산중에서 고행할 때 모시던 다섯비구 중 한사람. 세존이 선생녀에게 우유죽을 받는것을 보고 타락되었다고 하여 녹야원에 가 있다가 세존이 성도한 후 녹야원에서 4체법(諦法) 말함을 듣고 먼저 불제자가 된 사람. 관련글 : 오비구 (五比丘) 2013. 12. 5.
육군비구(六群比丘) 육군비구(六群比丘) 부처님계실 때에 떼를 지어 나쁜 일을 많이 하던 6명의 악한 비구. 발난타, 난타, 가류타이, 천노, 마사, 불나발. 부처님의 계율은 흔히 이 6군 비구로 말미암아 정한다. 2013. 11. 20.
요왕불(饒王佛) 요왕불(饒王佛) 세자재왕불. 법장비구의 본사로 중생을 자재하게 교화 이익되게 한다는 뜻으로 세요왕불(世饒王佛) 혹은 요왕불이라 한다. 관련글 : 법장비구 2013. 8. 4.
조선후기 불교 조선후기 불교 조선후기의 명승으로는 연담(蓮潭:1720~1799), 백파(白坡: 1767~1852)등이 있다. 연담은 각종 사기(私記)를 저술해 교학 진흥에 크게 기여했으며 백파는 《선문수경(禪門水鏡)》등을 지어 선문중흥에 기여했다. 또 초의(草衣)는 내외학문에 정통한 고승으로 유학자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범해(梵海)는 불교인명사전이라 할 수 있는 《동사열전(東師列傳)》을 썼다. 이밖에도 진하(震河)는 《선문재정록(禪門再正錄)》을 지어 여래선․조사선을 밝힘으로써 종풍을 떨치기도 했다. 이에 비해 조선후기의 불교상황은 승려의 사회적 신분저하로 도성출입마저 자유롭지 못한 형편이었다. 이 치욕적인 법령은 1895년 일본승려들의 탄원에 의해 해제되었지만 오랜기간 탄압에 의해 자립의 힘을 잃은 불교계는 근대사회로 .. 2011. 12. 30.
구계 구계 구족계의 준말. 계를 갖추어 몸에 지님. 출가한 사람이 받아야 할 완전한 계. 비구와 비구니가 지켜야 할 계를 이른다. 보통 비구는 250계, 비구니는 348계. 구족계를 받을 나이. 20살. 구계방편 구족계 중에서 5계ㆍ8계 등을 뽑아내어서 소질에 맞추어 지키게 하여, 차츰차츰 인도하여 구족계를 갖추기 전의 방편으로 삼는다. 구계정집 10계 중 불계를 제한 다른 9계에서의 중생이 지니는 헤매는 마음. 관련글 : 구족계 2011. 11. 16.
구수 구수 수명을 갖추고 있는 사람의 뜻. 그러나 이것은 너무 직역이어서 뜻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장로로 번역하기도 하나 이것도 부적당할 때가 있다. 젊은 스님을 부르는 일이 있으며, 또 범어의 일반적 회화에서는 나이 아래 사람을 부르는 일이 있다. 비구에 대한 경어. 흔히 나이 아래의 비구를 부를 때에 쓰고, 늙은 어른을 부를 때는 대덕이라고 일컫는다. 장로와 같이 불교에서는 불교에 정통한 나이 많은 비구를 말한다. 상좌의 승려. 2011.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