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매21

상좌삼매(常座三昧) 상좌삼매(常座三昧) 4종 삼매의 하나. 일행삼매(一行三昧)라고도 함. 90일을 기한으로 정하고 좌선 입정(入定)하여 피로할 때는 어떤 부처님 이름을 외워 악각(惡覺), 난상(亂想)을 없애고 마음을 법계에 머물러 사념(思念)함을 말함. 관련글 : 삼매 (三昧) 2014. 2. 28.
염불삼매(念佛三昧) 염불삼매(念佛三昧) 1. 일심으로 부처님의 상호장엄을 관하고 그 관이 성숙하여 법계에 두루한 이법신(理法身)의 실상을 관하는데 이르는 삼매 사리(事理)의 정선관(定善觀) 2. 정토문에서 아미타불 한분만 염하고 생각이 다른데 흩어지지 않고 일심으로 이름을 부르는 것. 관련글: 칭명염불(稱名念佛) 실상염불(實相念佛) 타력염불 염불(念佛) 관상염불(觀想念佛) 2013. 10. 16.
여환삼매(如幻三昧) 여환삼매(如幻三昧) 여환삼마지(如幻三摩地)라고도 한다. 마술하는 사람이 요술을 부리는 것같이 작용이 자재한 삼매란 말. 보살이 이 삼매에 들어가면 마치 마술하는 사람이 제 뜻대로 남녀나 군병들을 만들어 내지만 모두 공(空)한 것이어서 조금도 구애되지 않는 것같이 중생을 제도하는 상을 인식하지 않고 교화하는 작용이 자유자재함을 말한다. 관련글 : 삼매 (三昧) 보살(菩薩) 2013. 7. 11.
제개장보살(除蓋障菩薩) 제개장보살(除蓋障菩薩) 제개장은 온갖 번뇌의 장에를 제한다는 것. 이 보살은 일체중생의 번뇌를 제하기 위하여 제개장 삼매(三昧)중에 있다. 태장계 만다라에서는 제개장원(院)의 주존(主尊). 현도 만다라에서는 지장원의 하부에 있다. 관련글 : 만다라 2013. 6. 28.
반행반좌삼매(半行半坐三昧) 반행반좌삼매(半行半坐三昧) 4종 삼매의 하나. 걸어다니면서 경문을 외우거나 편안히 앉아 조용히 생각하여 망념(妄念)을 없애는 것. 이것은 에 의한 것으로써 에는 7일을 한정하고 120바퀴 돌고 나서 앉아 조용히 사유(思惟)하는 것이며 혹은 서서 경전을 외우거나 앉아서 사유한다고 한다. 관련글 : 삼매 (三昧) 2013. 5. 26.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 보살이 닦는 정(定)의 하나. 신역으로는 수릉가마(首楞伽摩)라 음역. 건상(建相), 견고(堅固), 용건(勇健), 건행(建行)등이라 번역. 대개 10지의 보살을 건사(建士)라 하고서 그들이 닦는 정이란 뜻. 이 정은 장군이 군대를 이끌어 적을 무찔러 항복받는 것처럼 번뇌의 마군을 파멸(破滅)하는 것이라 함. 관련글 : 삼매 (三昧) 능엄경 2013. 4. 10.
불심인(佛心印) 불심인(佛心印) 선종의 용어. 불인(佛印)이라고도 한다. 불심인증(佛心印證)의 뜻. 선종에서는 수증일여(修證一如)라 하여 오(悟)와 오(悟)하는 마음을 구별하지 않으니 깨닫는 마음이 있어서 점차로 수행의 공을 쌓은 뒤에 깨닫는 것이 아니고 깨닫는 마음이 곧 부처며 깨닫는 것도 수행이니 이 깨달은 것과 깨닫는 마음의 둘을 합한 의미로서 불심인이라 한다. 곧 부처님 자내증(自內證)의 삼매. 또 그대로 중생의 불성. 불심(佛心) 자비와 사랑이 가득한 부처님 마음. 중생의 마음 가운데 본래 구족한 불성 2013. 2. 20.
단공(但空) 단공(但空) 만유의 모든 법이 공하다는 한편만 알고 불공(不空)의 이치는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부단공(不但空) 단공삼매(但空三昧) 공하지 아니한 이치를 알지 못하고 공하다는 한쪽만을 고집하는 선정(禪定) 2012. 9. 13.
식려응심(息慮凝心) 식려응심(息慮凝心) 생각을 쉬고 마음을 모음. 곧 정심(定心). 망념 망상을 쉬고 산란한 마음을 고요히 하여 한 곳에 모음. 관련글 : 삼매 (三昧) 망념(妄念) 망상(妄想) 2011. 10. 30.
관음삼매 관음삼매 관세음보살을 염하는 삼매. 천태종에서 말하는 비행비좌삼매에 대응. 관련글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천태종(天台宗) 삼매 (三昧) 2011. 10.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