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문20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堤下化衆生)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堤下化衆生) 보살의 마음. 위로는 보리를 구하는 동시에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것. 성문 ․ 연각이 자기만 깨달으려는 것과 다름을 말함. 2015. 10. 16.
사생백겁(四生百劫) 사생백겁(四生百劫) 연각의 수행에 필요한 시간. 2가지 종류가 있다. 1. 매우 빠른 이는 4생(生)을 지내야 하니 제1생에 성문의 자량행(資糧行)을 닦고 제2생에 성문의 가행(加行)을 닦고, 제3생에 연각의 자량과 가행을 닦고 제4생에 깨달음. 2. 가장 느린 이는 100겁을 요하니, 제1의 20겁에 성문의 자량을 닦고 제2의 20겁에 연각의 자량을 닦고 제3의 20겁에 연각의 자량을 닦고 제4의 20겁에 연각의 가행을 닦아서 제5의 20겁 수행을 마치고 최후에 깨닫는 것.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연각(緣覺) 겁(劫 Kalpa) 2015. 7. 17.
삼승교(三乘敎) 삼승교(三乘敎) 성문·연각·보살의 근기마다 그에 대한 교법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수행·증과(證果)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교법. 관련글 : 삼승(三乘) 2015. 6. 15.
성문승(聲聞乘) 성문승(聲聞乘) 3승의 하나. 성문 지위에 있는 이가 증과(證果)에 이르기 위해 닦는 교법. 곧 고집멸도의 4체법(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기류(機類)도 성문승이라 한다.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2015. 5. 5.
의안락행(意安樂行) 의안락행(意安樂行) 4안락행의 하나. 마음에 질투(嫉妬), 첨광(諂誑 아첨하고 속이는 것)의 생각을 가지지 않고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을 지원(志願)하는 이를 꾸짖지 않고 희롱하거나 다투지 않고 마음이 안락하여 수양하는 것. 2014. 4. 13.
무성(無性) 무성(無性) 불성(佛性)이 없는 것. 보살, 성문 연각이 될 성품이 없는 것. 무루(無漏)의 종자가 없는 것. ↔ 유성(有性) 관련글 : 불성(佛性) 무루(無漏) 무루종자(無漏種子) 2014. 1. 13.
성문사과(聲聞四果) 성문사과(聲聞四果) 성문들이 깨달은 4계급(階級) 수다원과(須陀洹果) : 처음 성인의 축에 들어간 지위 사다함과(斯多含果) : 욕계9지의 사혹(思惑)9품중에서 앞의 6품을 끊고 아직 3품이 남았음으로 인간과 천상에 한번 왕래하면서 생(生)을 받아야 하는 지위. 아나함과(阿那含果) : 사다함과에서 남은 3품 혹(惑)을 마져 끊고 욕계에 다시 나지 않는 지위. 아라한과(阿羅漢果) : 3계의 견혹(見惑) 사혹을 끊고 공부가 완성되어 존경과 공양을 받을 수 있는 성인 지위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아라한 수다원 (須陀洹) 사과성인(四果聖人) 사다함 (斯陀含) 2013. 6. 6.
불공반야(不共般若) 불공반야(不共般若) 보살만을 위하여 말한 것이고 성문·연각에는 공통하지 않은 반야의 법문. 곧 에서 말한 것들. 은 부처님 지혜를 끝까지 다하여 말한 것이어서 2승들은 알지 못하는 것이므로 불공(不共)이라 한다. ↔ 공반야(共般若) 관련글 : 공반야(共般若) 반야(般若) 실상반야(實相般若) 화엄경 (華嚴經) 성문(Sravaka 聲門) 연각(緣覺) 2013. 3. 10.
예류향(預流向) 예류향(預流向) 성문(聲聞) 4향(向)의 하나 예류과(預流果)에 나아가는 동안을 말함. 무루(無漏)의 성지(聖智)를 처음 얻는 견도위(見道位)의 성자. 곧 3계 견혹(見惑)의 88사(使)를 끊는 견도 15심(心) 동안 관련글 : 예류과(預流果) 2013. 1. 4.
예류과(預流果) 예류과(預流果) 성문(聲聞) 4과(果)의 하나. 범어로 수다원, 입류(入流), 역류(逆流), 예류(預流)라 번역. 초과 3계(界)의 견혹(見惑)을 끊고 처음으로 무루도(無漏道)에 드는 지위. 견도(見道)16심중의 제16심. 이것은 수도위(修道位)의 처음으로 견도, 수도의 2를 갖춘 최초가 된다. 관련글 : 수다원 (須陀洹) 사과성인(四果聖人) 201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