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온(識薀: vijnana)
식은 일반적으로 분별(分別), 인식(認識) 및 그 작용을 말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식(識)의 영역은 대상을 인식하는데 까지 가지 않는다. 그 전 단계인 주의작용(注意作用)일 뿐이다. 예를 들면 붉은 꽃을 볼 때 안식(眼識)이 일어나게 되는데 안식은 눈앞에 ‘무엇이’ 나타난 것만을 알뿐이다. ‘붉다’ ‘꽃이다’라고 아는 것은 식이 아니고 상(想)의 작용이다. 식 역시 감각기관들과 그 것에 해당되는 대상들과의 만남에서 생긴다
관련글 : 오온(五蘊) 색온(色蘊: rupa) 수온(受蘊: vedana) 상온(想蘊 : samjna) 행온(行蘊 :samskara)
'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중탱화 (0) | 2012.05.05 |
---|---|
사관이관(事觀理觀) (0) | 2012.05.04 |
사액(四軛) (0) | 2012.05.01 |
상온(想蘊 : samjna) (0) | 2012.04.29 |
수온(受蘊: vedana) (0) | 2012.04.29 |
색온(色蘊: rupa) (0) | 2012.04.29 |
설법인 (0) | 2012.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