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멸보궁(寂滅寶宮)-보궁(寶宮)
우리나라 절 가운데는 불상(佛像)을 전혀 모셔놓지 않은 데가 있다. 법당 안에는 단(壇, 戒壇)만 있고 속이 텅 비었으며 법당 밖 뒤편에는 사리탑을 봉안하여 놓은 곳이다. 이러한 곳을 적멸보궁, 또는 보궁이라 하는데 이는 사리탑에 부처님의 진신(眞身) 사리를 모신 보배로운 곳이란 뜻이다. 신라 진덕왕 때 자장(慈藏) 스님이 중국 오대산에 가서 문수 보살을 친견하고 부처님 가사와 사리를 받아와 우리나라의 가장 수승한 땅에 부처님 사리를 봉안하여 모셨는데 경남 양산 통도사(通度寺)에 부처님 가사와 사리를 모시고 금강 계단을 세웠다. 그리고 강원도 설악산 봉정암(鳳程庵), 오대산 상원사(上院寺)에 각기 사리를 모시고 적멸보궁을 지었다 한다. 또 강원도 영월 사자산 법흥사(法興寺)와 태백산 정암사(淨岩寺)에도 부처님사리를 봉안하고 적멸보궁을 세웠다. 이로써 이곳을 3대 적멸보궁, 5대 적멸보궁이라 통칭한다.
적멸보궁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眞身舍利)를 봉안한 대신 불상을 모시지 않는 불전(佛殿).
부처님의 분신과 다름없는 사리를 모시고 있기 때문에 전(殿)이나 각(閣)보다 상위개념인 궁(宮)이라 하였다. 그것도 모자라 궁(宮)에서 한 층 올려 보궁(寶宮)이란 이름을 붙였다. 보궁의 기원은 석가모니가 대각한 후 최초의 적멸도량회를 열었던 마가다국 가야성남쪽 보리수 아래 금강좌(金剛座)에서 비롯된다. 적멸(寂滅)은 깨달음의 경지를 이른다. 여기서 부처님은 화엄경을 설법하기 위한 해인삼매(海印三昧)에 들어갔다. 시방세계의 많은 보살과 대중이 모여 들어 부처의 덕을 찬양했다. 원래 적멸보궁은 언덕모양의 계단(戒壇)을 쌓고 불사리를 봉안한 양식이었다. 진신사리는 불상이 조성될 때까지 가장 소중하게 여겨진 부처님의 상징이었다. 불상 조성후에도 그 경외와 숭배의 열기는 식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적멸보궁은 편의상 진신사리의 예배장소로 만들어진 것이다. 노천(露天)의 계단(戒壇)에서 참배하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불상을 모실 필요가 없었다. 다만 진신사리를 모신 계단(戒壇)에 참배하기 위한 불단만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에는 5대적멸보궁이 있다. 영축산 통도사, 오대산 월정사,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가 그곳이다. 이들 오대 적멸보궁은 불교신자들의 순례지이자 기도터로 유명하다.
관련글 보궁(五大寶宮) 금강계단(金剛戒壇)
'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경문 (0) | 2011.02.03 |
---|---|
제망 (帝網) (0) | 2011.01.29 |
장엄(莊嚴) (0) | 2011.01.27 |
죽림정사(竹林精舍) (0) | 2011.01.04 |
정광여래 (錠光如來) (0) | 2010.12.31 |
정과인 (正果因) (0) | 2010.12.31 |
적멸도량(寂滅道場) (0) | 2010.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