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우도(尋牛圖) 십우도(十牛圖)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본성을 깨닫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어 십우도 (十牛圖) 또는 심우도(尋牛圖) 혹은 목우도(牧牛圖)라고도 한다. 심우도에는 송나라 때 곽암(廓庵)이 만든 것과 그와 같은 시대 보명(普明)이 만든 것의 두 종류가 있으나 한국에서는 곽암의 심우도가 주로 그려졌다. 심우도 10단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심우(尋牛)는 처음에 사람이 들에서 뛰어 다니는 소를 찾으러 가는 모습을 그렸다. 즉 수행자가 사람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원성(圓成)인 마음의 소(心牛)를 잃어버린 뒤 그것을 찾으러 나선 것을 비유한 것이다.
② 견적(見跡)은 수행자가 이제 소의 발자국을 발견한 것을 그린 것으로서, 이제 점차 심의(心牛)의 자취를 보기 시작했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③ 견우(見牛)는 수행자가 소의 울음소리를 듣고 소가 있는 곳에서 소의 모습을 어렴풋이 본 것을 그렸다. 즉 문법수학(聞法修學)의 공에 의해 마음의 소(心牛)를 발견한 것을 비유한 것이다.
④ 득우(得牛)는 수행자가 소를 잡았지만 아직 길들여지지 않아 소에 채찍질하는 모습을 그렸다. 즉 이제 본성을 찾았지만 아직 번뇌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았으므로 더욱 열심히 수련해야 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⑤ 목우(牧牛)는 소에 고삐를 물리고 돌아오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깨달음 뒤에 오는 방심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비유했다.
⑥ 기우귀가(騎牛歸家)는 길들여진 소를 타고 피리를 불며 돌아오는 모습을 그렸다. 즉 드디어 망상에서 벗어나 본성의 자리에 들었음을 비유한 것이다.
⑦ 망우존인(忘牛存人)은 집에 돌아왔지만 소는 간 데 없고 오직 자기 혼자만 남아 있는 것을 그렸다. 즉 본각무위(本覺無爲)로 돌아왔으나 쉬지 않고 수련해야 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⑧ 인우구망(人牛俱忘)은 소를 잊고 또 자기를 잊는다는 것을 뜻하기 위해 텅 빈 원 만을 그려놓았다. 즉 정(情)을 잊고 세상의 물(物)을 버려 공(空)에 이르렀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⑨ 반본환원(返本還源)은 티끌 하나도 없는 수록산청(水綠山靑)의 광경을 그렸다. 즉 그의 본심은 본래 청정하여 아무 번뇌가 없어 산은 산대로 물은 물대로 보게 되며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는 참된 지혜를 얻었음을 비유한 것이다.
⑩ 입전수수(入廛垂手)는 중생제도를 위해 자루를 들고 자비의 손을 내밀어 중생 있는 곳으로 향하는 모습을 그렸다. 즉 이타행(利他行)의 경지에 들어 중생제도에 나선 것을 비유한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