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각경(圓覺經)
원래 명칭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으로 줄여서 <대방광원각경> <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원각경>이라고도 한다.
<원각경>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문수· 보현· 보안· 금강장· 미륵·청정혜· 위덕자재·음· 정제업장· 보각· 원각· 현선수 등 12보살들과의 문답을 통해 대원각의 묘리와 그 관행을 설한 경전이다. 전체 1권 12장으로 12보살들과의 문답을 각각 1장으로 했기 때문에 1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당나라 불타다라(佛陀多羅)에 의해 번역되었으나 연대는 확실치 않다.
경전의 내용은 <수능엄경>을 근거로 여기에 <대승기신론> 의 교의를 짜넣어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는 학자가 많다.
이렇듯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으로 보는 학자가 많고 문헌학적인 의문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대승의 참뜻을 잘 표현하고 있어 예로부터 널리 유포된 경전. 이리하여 우리나라에도 전문강원의 교과목 중 <금강경> <수능엄경> <대승기신론>과 함께 사교과의 한 과목으로 채택되었다. 원각경
원각경은 석가모니 부처님과 12보살과의 문답경전이다.
12보살은 문수 보현 보안 금강장 미륵 청정혜 위덕자재 변음 정제업장 보각 원각 현선수 등이다.
그래서 1권 12장으로 틀이 짜여 있다.
원명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이다.
이를 줄여서 '대방광원각경(大方廣圓覺經)' '원각요의경(圓覺了義經)' 등으로도 불린다.
북인도의 승려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을 했다.
대승(大乘) 원돈(圓頓) 관행(觀行)에 대한 설명이 주(主)를 이룬다.
부처님과 보살이 1문1답하는 형식을 취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때 지눌(知訥)이 요의경(了義經)이라 하여 전파를 시작했다.
조선초에 이르러 함허(涵虛)가 '원각경' 3권을 펴냈다.
‘원각경’은 우리나라 전문강원에서 ‘금강경’ ‘능엄경’ ‘대승기신론’과 더불어 4교과의 한 과목으로 중시되고 있다.
주석서로는 당나라 종밀(宗密)이 ‘원각경소(圓覺經疏)’ ‘원각경초(圓覺經抄)’ ‘원각경대소(圓覺經大疏)’ 등 여러 권을 펴냈다. 규봉종밀(圭峰宗密)의 주석서가 최고로 손꼽힌다.
경판은 청도 운문사, 하동 쌍계사, 순천 선암사경판이 남아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