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뢰야식 (阿賴耶識)

by 정암 2010. 9. 18.
반응형

아뢰야식 (阿賴耶識)

불교의 유가행유식학파(瑜伽行唯識學派)에서 말하는 근원적 인식.
산스크리트로 알라야 비지냐나(alaya―vijniana)라 하는데, 알라야는 주소(住所), 비지냐나는 인식이라는 뜻이다.

유가행유식학파는 유가행파․유식학파라고도 하며, 중국과 한국에서는 법상종(法相宗)이라 한다. 이 학파에서는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에 의한 6인식(六認識)과 아뢰야식을 자아로 오인하는 자기 집착인 마나스식(Manas識), 아뢰야식의 8식을 내세운다. 앞의 7식이 표층적․의식적인 데 비해 아뢰야식은 심층심리적․무의식적 인식이다.

아뢰야식은 앞의 7식과 그 표상(表象), 즉 자아의식, 의식있는 존재자, 자연 등의 모든 인식표상을 만들어냄과 동시에 그들 표상의 인상(
印象)을 자기안에서 기르므로 종자(種子)에 비유된다. 아뢰야식은 종자로서 시시각각 변화하면서 성장하고, 성숙하면 세계의 온갖 현상을 만들어 내며 그 열매로서의 인상을 종자로서 자기 안에 잠재화(潛在化)한다. 세계는 외적 실재가 아니라 개체의 인식표상이다.

이 아뢰야식을 철학적 입장에서 가장 잘 분석한 경론으로는《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이 있다. 신라의 고승 원효(元曉)는《대승기신론소》와《별기(別記)》를 通하여 아뢰야식의 전변(轉變)과 추이를 철학적으로 논구하였는데, 원효의 기본적 입장은 인간을 가능성의 존재로 파악한 것이며, 그 철학적 기반을 이루는 것이 아뢰야식에 대한 그의 논구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원측(圓測)도 아뢰야식에 관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으나, 중국 사상가들에 의해 이단시되어 대부분 인멸되었다.

관련글 : 말나식 (末那識) 아마라식(阿摩羅識)
육근(六根),육식,(六識),육경(六境)
아마라식(阿摩羅識) 
이숙전변(異熟轉變)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교(五敎)  (0) 2010.09.22
아함경(阿含經)  (0) 2010.09.22
아마라식(阿摩羅識)  (0) 2010.09.18
일미(一味)  (0) 2010.09.18
오탁악세  (0) 2010.09.17
업 (業)  (0) 2010.09.14
아란야 (阿蘭若)  (0) 2010.09.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