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도단(言語道斷)
어이가 없는 말을 듣고 기가 막힐 때 또는 무경우(無境遇)한 말 등을 할 때, 당치도 않다는 뜻으로 쓰인다. 본래는 불교에서 ‘말로는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심오한 진리’라는 뜻으로 쓰인 말이다.
법화경(法華經) 안락행품(安樂行品)에 ‘일체의 법은 공하여, 말(言語)도 도(道)도 끊어져서(斷), 불생(不生). 불출(不出). 불기(不起)하여, 상도 없고 실로 있는 바가 없으므로....’라고 했다. 즉 말도 도도 다 끊어진 경지라는 뜻이다.
유마경(維摩經) 아촉불품(阿促不品)에 ‘일체의 언어도단이니....’ 했고, 또 지관(止觀)에는 ‘언어도단, 심행처멸(心行處滅)이므로 이를 일러 불가사의경이라 한다’고 했고, 또 인왕경(仁王經)에는 ‘심행처멸, 언어도단은 곧 진제(眞際 ; 진리를 탐구하여 끝 간 데)와 같다. 따라서 법성(法性)과 같다’고 했다.
즉 언어도단의 경지는 곧 실제(實際)인 깨달음의 경지를 일컫는 말이다. 지금 일반적으로 쓰는 말의 뜻과는 큰 차이가 있다. 하기야 언어도단이니 더 갈 데도 없는 막판의 상황이다. 더 말해 무엇 하리.
말할 길이 끊어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서 말하려 해도 말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말이 안 됨’으로 순화.
반응형
'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무실(有名無實) (0) | 2011.02.13 |
---|---|
유야무야(有耶無耶) (0) | 2011.02.13 |
인과응보(因果應報) (0) | 2011.02.13 |
업경대(業鏡臺) (0) | 2011.02.12 |
야단법석(野壇法席) (0) | 2011.02.12 |
여의주(如意珠) (0) | 2011.02.11 |
염각지(念覺支) (0) | 201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