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파

탱화

by 정암 2011. 2. 11.
반응형

탱화

탱화는 족자그림을 말한다. 특히 그중에서도 족자형식의 불화(佛畵)를 지칭한다. 탱화는 내용에 따라 상단(上壇) 중단(中壇) 하단(下壇) 탱화로 나눈다. 상단탱화는 중앙에 모셔진 불보살의 뒤에 거는 탱화다. 대웅전에선 석가모니불탱화가, 극락전이나 미타전에선 아미타불탱화가, 대적광전이나 대명광전에선 비로자나불탱화가, 약사전에선 약사불탱화가 주로 걸린다. 이른바 메이저 탱화인 셈이다. 그리고 중단탱화는 불단(佛壇)의 좌우측에 있는 영가단(靈駕壇)에 거는 탱화로 격이 한수 아래다. 주로 호법신이나 신중(神衆)탱화가 걸린다. 이를테면 칠성탱화나 산신탱화다. 하단탱화는 명부전에서 지장과 시왕의 뒤에 건다. 감로탱화이다. 우리나라 탱화의 기원은 확실치 않다. 다만 현존하는 탱화는 13세기 고려불화가 5점정도 국내에 있고 일본에 80여점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 탱화가 귀족적이라면 조선시대 탱화는 서민적이다. 그래서 고려탱화는 주존(主尊)을 돋보이게 배열하였으나 조선탱화는 보살상이나 불제자들이 주존을 둘러싸게 그려져 있다. 민중적이란 얘기다. 하지만 예술성의 측면에서 고려불화는 독보적이다.

탱화 
종이나 비단 또는 베(布) 바탕에 불 보살의 모습이나 경전 내용을 그려 벽에 걸도록 만들어진 불교 그림이다. 현재 전하는 고려·조선시대 불화 가운데 대부분이 이 탱화의 범주에 드는 그림들인 까닭에 탱화 하면 곧 불화를 떠올리거나 같은 뜻으로 쓰고 있지만 이는 불화의 한 형식일 뿐이다. 벽화의 종류는 그려진 주제의 내용에 따라서 상단(上壇)·중단(中壇)·하단(下壇) 탱화로 구분된다.

[상단탱화]
 전각의 상단 즉 불전(佛殿)의 중앙에 모셔진 불 보살상의 뒷면에 거는 탱화로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석가모니불탱화 : 대웅전 후불탱화로서 영산회상도를 바탕으로 해서 아미타불과 관음보살·대세지보살 그리고 약사불과 일광보살·월광보살 이 각각 좌우에 협시한 구도가 일반적이다.

 아미타불탱화 : 극락전 탱화로서 서방정토에서 아미타여래가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 보통이지만 대웅전 후불탱화와 같은 영산설법도의 내용을 그린 것도 있다.

비로자나불탱화 : 대광명전·대적광전 후불탱화로서 《화엄경》의 설법장면을 그린 것이다. 대웅전이 주불전일 경우에는 비로전이나 문수전·화엄전 중앙에 배치된다.

약사불탱화 : 약사전 후불탱화로서 약사정토의 특성을 묘사했다. 일광·월광보살을 협시보살로 하고 사천왕이 호법신중을 하고 있다. 단독으로 배치되기보다는 삼불 탱화의 하나로 많이 그려졌다. 국립박물관 소장의 회암사(檜巖寺) 약사삼존탱화가 유명하다. [중단탱화] 불단의 좌우측에 있는 영가단(靈駕壇)에 거는 탱화로서 주로 신중(神衆)이나 호법신(護法神) 등을 그린 탱화이다.

 칠성(七星)탱화 : 중국 도교의 북두칠성에 대한 신앙이 칠성신앙으로 불교에 습합되면서 그려진 탱화이다.

 산신(山神)탱화 : 토속신앙의 산신신앙이 불교에 습합되어 독립된 신앙체계를 이루게 되면서 산신각에 봉안된 탱화로 산신과 그의 화신인 호랑이를 그렸다.

[하단탱화]

명부전의 지장보살·시왕상 뒤에 거는 탱화이다. 대체로 불전의 좌우측 벽면에 설치되는 하단의 전면에 영가의 위패나 사진을 봉안하고 그 뒷면에 탱화를 건다.




반응형

'타-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화자재천  (0) 2011.02.18
풍경  (1) 2011.02.14
탐욕(貪欲)  (0) 2011.02.13
포행(布行)  (0) 2011.02.08
팔관재계  (0) 2011.02.08
템플스테이(Temple Stay)  (0) 2011.02.06
탑돌이하는 법  (0) 2011.02.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