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양21

공양주 공양주 공양을 하는 주인, 곧 시주를 이른다. 공양을 권하거나 받는 주인, 가방화주를 이른다. 한국에서는 절에서 밥짓는 구실을 말한다. 반두와 같다. 부엌의 책임자. 사실상 과거 취사에 관련한 모든 소임이 공양주에게로 넘어 왔다고 보면 틀림없다. 관련글 : 가방화주(街坊化主) 공양(供養) 2011. 8. 7.
공미(供米) 공미(供米) 부처님 공양하는 쌀을 말한다. 다른말로 공양미라고 한다. 불향(佛餉), 불공(佛供) 이라고도 한다 2011. 7. 30.
공물(供物) 공물(供物) 신불에게 바치는 물건. 불교에서는 불법승 3보를 공양할 때에 쓰는 물건, 곧 음식물ㆍ향ㆍ꽃 따위를 공양물이라 한다. 의복ㆍ음식ㆍ이부자리ㆍ탕약을 베푸는 것을 4사공양, 꽃ㆍ향ㆍ영락ㆍ말향ㆍ도향ㆍ소향ㆍ증개ㆍ당번ㆍ의복ㆍ기악을 10종 공양이라 일컫고, 밀교에서는 알가(맑은 물)ㆍ도향ㆍ꽃ㆍ소향ㆍ음식ㆍ등명의 6가지 물건으로 하고, 공양하는 대상의 존상의 차이, 수법 목적의 차이 등에 따라 6가지 물건 하나하나에 자세한 구별을 규정한다. 인도불교에서는 공양물, 곧 시물의 뜻으로써, 뒤에는 탑에 바치는 공물과 승단에 바치는 공물이 구별되어 갖가지 논의도 생겼으나 뒤의 것은 승단의 경제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국으로부터 일본에 이르러 공물은 오로지 불보살이나 조사 등의 예배 대상에게 바치는 것에 국한되게.. 2011. 7. 20.
화만(華鬘 Kusumamala) 화만(華鬘 Kusumamala) 꽃으로 만든 꽃다발. 실로 많은 꽃을 꿰거나 또는 묶어서 목이나 몸에 장식하는 것. 꽃은 반드시 일정하지 않으나 주로 향기가 많은 것을 고른다. 본래 인도의 풍속이나 비구는 이것으로 몸을 꾸미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다만 방 안에 걸어 두거나 또는 부처님께 공양하는 데 쓴다. 후세에는 주로 금속으로 만든 꽃을 많이 쓴다. 2011. 6. 28.
공구(供具) 공구(供具) 공물이라고도 함. 부처ㆍ보살께 바치는 음식물ㆍ향ㆍ꽃 따위. 공물을 바칠 때에 쓰는 기구. 공양하는 도구. 2011. 6. 27.
공덕(功德) 공덕(功德) 좋은 일을 하여 덕을 쌓는 일. ⑴복, 복덕 ⑵좋은 과보를 받을 선행(善行) ⑶뛰어난 능력 ⑷특질, 특성 훌륭한 덕성, 좋은 성질, 뛰어난 특질 또는 선을 쌓아서 얻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대승불교에서는 자신만의 깨달음을 위해서가 아니라 널리 온 세상 사람들을 깨달음에 이르게 하기 위해 공덕을 쌓을 것을 설하고 있다. 특히 선행을 하여 자신을 이익 되게 하는 것을 공덕이라 하고, 다른 사람을 이익 되게 하는 것을 이익(利益)이라고 나누어서 말하기도 한다. 특히 '공덕주'란 부처님을 가리키는 말인데 불법승 삼보에게 공양을 올리는 사람을 말하기도 한다. '공덕지'란 극락정토에 있는 공덕으로 가득 찬 연못을 이른다. 관련글 : 공덕장(功德藏) 2011. 6. 26.
만발공양(萬鉢供養) 만발공양(萬鉢供養) 서울 조계사는 무료로 점심을 나눠주는 ‘만발식당’을 운영하고 있다. 왜 이름을 ‘만발’이라고 지었을까? 만발(萬鉢)은 만 개의 발우를 뜻하는 말로 불가에서 이루어지는 만발공양(萬鉢供養)을 뜻한다. 만발공양은 절에서 발우에 밥을 담아 대중에게 베푸는 공양. 부처님 생전 발우에 밥을 수북하게 담아 대중에게 공양을 베푸는 데서 유래됐다고 전해온다. 초기불교에서는 출가자는 신도들에게 법을 설하며 법을 보시하고 재가자는 수행자를 위해 옷 음식 약품 등 생활에 필요한 물건을 보시하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대승불교에서는 보살도가 출ㆍ재가 모두에게 가장 중요한 덕목이 되면서 사찰과 스님도 재보시의 주체로 등장한다. 인도 중국 한국 등에서 사찰이 굶주리는 백성들에게 먹을 것을 제공하는 구휼처의 역할을.. 2011. 5. 21.
불공(佛供) 불공(佛供) 부처님 전에 음식이나 꽃, 향, 곡식 등을 올리는 신도들의 행위. 부처나 보살에게 음식․ 향․ 꽃 등을 경건한 마음으로 바치는 의례, 또는 그것을 바치며 소원이 성취되기를 비는 의례. 불. 보살님께 맑은 마음으로 정성을 다해 여러 가지 공양구로 공양을 드리는 것을 말하는데 불공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고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다양한 의식 절차가 진행된다. 기본적인 의식 절차의 구조는 결계, 청영, 권공, 가지, 축원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공을 드리는 공양에는 법공양을 비롯해 향, 등(초), 꽃, 과일, 차, 음식 등을 올리는 육법공양과 이외에도 의복공양, 음악(음성)공양 등도 있다. 특히 이 중에서도 부처님의 말씀에 따라 수행하며 중생을 이롭게 하고, 중생들을 도와 불법을 성취시키며, .. 2011. 4. 8.
사사공수 (四事供須) 사사공수 (四事供須) 사사공양(四事供養)과 같음. 수(須)는 재료의 뜻. 공양하는데 쓰는 네 가지 물건. 즉 의복(衣服)·음식(飮食)·와구(臥具)·탕약(湯藥) 혹은 와구(臥具) 대신에 방사(房舍)를 말하기도 한다. 관련글 와구(臥具) 2011. 1. 3.
복전 (福田) 복전 (福田) 복을 낳게 하는 밭이라는 뜻. 부처님이나 비구 등 공양을 받을 만한 법력이 있는 자에게 공양하면 복이 되는 것이 마치 농부가 밭에 씨를 뿌려 다음에 수확하는 것과 같다는 뜻. 이에 2복전, 3복전, 4복전, 8복전등이 있음. 복 밭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중생은 자비의 복 밭이요 삼보는 공경의 복 밭이다. 삼복전(三福田) 삼복전(三福田) 삼복전(三福田) 좋은 일을 짓는 대상의 세가지. 보시 할 때에 보시하는 이는 경작자, 보시하는 물품은 종자, 받는 이는 밭으로 함. (1) 비전(悲田: 빈궁자), 경전(敬田 : 불법승 3보), 은전(恩田 : 부 studybuddha.tistory.com 2010.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