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578 경계(境界) 경계(境界) 산스크리트어 viṣaya ①대상,인식 대상, 여러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의 대상. 인식이 미치는 범위 ②경지(境地) ③상태 ④범위,영역. 2024. 5. 27. 귀졸(鬼卒) 귀졸(鬼卒) 염라국(閻羅國 저승)에 살면서 염라대왕의 명령을 받아 죄인을 다루는 옥졸. 염라졸(閻羅卒), 염마졸(閻魔卒), 염라인(閻羅人)이라고도 한다. 염라대왕 2023. 12. 30. 국집(局執) 국집(局執) 마음이 확 트이지 못하고 어느 한편에 국한(局限), 집착하는 것. 사리(事理)를 두루 살펴 종합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자기의 주관에 얽매이거나 자기의 소견만이 옳다고 고집하여 매우 답답한 모습을 말한다. 2023. 12. 29. 낙방(樂邦) 낙방(樂邦) 서방의 극락정토. 몸과 마음이 즐거운 국토이므로 낙방이라 한다. 2020. 7. 21. 견독(見毒) 견독(見毒) 사견(邪見)을 말한다. 불도를 수행하는 데 가장 방해가 되는 것이므로 독이라 한다. 2020. 7. 20. 걸사(乞士) 걸사(乞士) 비구는 모근 생업을 끊고 법을 빌어서 몸을 기르고 또 법을 빌어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이르므로 걸사라 한다. 2020. 7. 19. 금강신(金剛身) 금강신(金剛身) 법신(法身)이라고도 한다. 법신은 금강이 견고하여 파괴할 수 없는 것과 같이 항상 있어 변치않는 이체(理體)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2020. 7. 18. 난행(難行) 난행(難行) 닦기 어려운 수행. 점차로 과정을 밟아서 오랫동안 수행하는 방법은 곤란한 행임으로 난행이라고 한다. 2019. 8. 8. 구공(俱空) 구공(俱空) 3공(空)의 하나. 나라는 관념과 나의 소용돌이라는 주관적 미집(迷執)과 아집(我執)이 일어난 근본. 곧 물질과 마음의 여러 가지에 대한 객관적 법집(法執)을 여의고, 다시 아공(我空)․ 법공(法空)까지도 버리어 비로소 제법(諸法)의 본성에 계합함을 말한다. 관련글 : 삼공(三空) 2019. 8. 7. 남북율(南北律) 남북율(南北律)지금의 인도 파리어로 된 율(律)을 남율(南律)이라 하고 한문으로 번역된 모든 율을 북율이라 한다.관련글 보기 : 계율(戒律) 티베트대장경 팔리삼장 2017. 4. 25. 이전 1 2 3 4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