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찰16

남고사 남고사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서학동 724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남고산성(南高山城, 사적 제 294호)에 자리하고 있다. 668년(신라 문무왕 8) 고구려에서 백제로 귀화한 스님 보덕(普德)의 제자 명덕(明德)이 창건했다. 원래는 남고연국사라고 이름했으며, 연국(燕國)은 나라를 편안하게 한다는 의미로 산성 내에 있는 절 이름에 많이 쓰인다. 언제 남고사로 바뀌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때(1724-1776) 편찬된 한 문헌에 남고사로 표기되어 있다. 전주의 사방에 사고(四固)의 진압 사찰이 있는데, 이 절은 남쪽에 위치하여 남고사라고 한 것으로 보인다. 절 전체가 전라북도 기념물 제72호로 지정되어 있다. 건물로는 대웅전과 관음전, 요사, 삼성각, 사천왕.. 2013. 2. 13.
익산 남원사 (南原寺) 남원사 (南原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이다. 평지에 있는 사찰로 독자천 옆 논에 있다. 1968년 세운 사적비 비문에 따르면, 831년(신라 흥덕왕 1)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법당사(法堂寺)라고 하였다. 이후의 연혁은 전하지 않고 절 이름이 법당사에서 남원사로 바뀐 유래가 전한다. 1592년(선조 25) 남원부사로 부임한 윤공(尹公)이 남원으로 가던 중 이 부근에서 잠을 자는데, 꿈에 석불이 나타났다. 다음날 사람을 시켜 그 곳을 파 보니 미륵불상과 석조거북·오층석탑이 출토되었고 이에 3칸 법당을 짓고 절 이름을 남원사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1946년 한성이(韓聖履)가 주지로 있으면서 법당을 중건한 뒤, 1992년 대웅전을 중건하고,.. 2012. 11. 24.
김제 청룡사 청룡사는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 4-1번지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사찰이다. (063 - 548 - 4321) 청룡사는 1079년(고려 문종 33)에 금산사 주지로 부임한 혜덕왕사가 금산사를 중창하면서 모악산에 40여 개의 암자를 세웠는데 그 때 청룡사의 전신인 용장사(암)를 창건하였다 한다. 금산사에서 모악산 등산로의 포장도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심원원과 연리지 부토밭 가는 길과 청룡사 가는 길의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어잡고 오르면 거의 산 중턱에 청룡사를 만날 수 있다. 청룡사까지는 포장도로가 닦여있어 차로도 갈수 있지만 한적한 숲길을 걸어오르는 것도 쾌적합니다. 옛날에는 이곳에서 전주 구이로 넘어갈 때 배재라고 하는 고개를 넘어갔다고 한다. 일제시대 금을 채취하던 금광의 흔적도 볼.. 2012. 9. 28.
군산 은적사 군산시 소룡동에 자리잡은 은적사(隱寂寺)는 ‘신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백제무왕 14년(서기 613년)에 원광법사 혹은 원종화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온다. 그러나 신라 스님이 백제땅에 와서 창건했다고 하는 설은 신빙성은 떨어지지만 당나라 소정방이 나당 연합군과 함께 백제를 공격할 때 천방산 아래까지 사찰이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오랜 사찰임에는 분명해 보인다. 이후 고려 광종 3(952)년에 정진국사(靜眞國師)가 중건하였고, 고려말 공민왕 22(1373)년에 고승 나옹(懶翁) 화상이 중수하였다. 조선시대 인조 7(1629)년에 수종(守宗) 화상이 대웅전을 중건하고 석가삼존불을 봉안하였으며, 현종 7(1666)년에는 천홍(天弘) 화상이 극락전을 신축하고 아미타불을 안치하였다. 철종 7(.. 2012. 5. 4.
익산 백운사 익산 백운사 대한불교조계종 백운사는 전북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65번지 천호산(天壺山) 중턱에 자리잡고 있으며 신라 경순왕 2년(928년) 백양선사 (白楊禪師)에 의해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백운사가 위치해 있는 천호산은 예로부터 많은 도인들이 공부하는 곳이라 전해진다. 이 도량은 보현, 문수, 관음보살이 상주하는 곳으로 불보살의 가피를 입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기도 도량이다. 백운사를 창건할 당시에는 현 위치에서 1.5km 위쪽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폐사가 된 이후 중건할 때 현재 자리로 옮겨지었다고 한다.(전북불교 년감 289쪽) 본래는 법당산(法堂山) 혜정사(慧定寺)라 부르다가 그 후 백운암(白雲菴)이라 불렀으며1988년 7월 22일 전통사찰 제48호로 지정되었다. 우성(宇成)스님께서 199.. 2012. 3. 23.
완주 옥련암 완주 옥련암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운산리 5번지 063) 263-7098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옥녀봉(옥녀산, 해발 410m) 아래 자리잡고 있는 옥련암은 전라북도 완주군과 충천남도 논산시의 경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옥련암은 대한불교조계종 17교구 금산사의 말사로 등록되어 있으면 과거에는 보덕사로 불렸다고 하며 백제시대부터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지나 자세한 사료는 없다. 정면 4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형태의 대웅전과 요사 선방등의 전각이 있다. 대웅전 옆의 관음보살상 아래 샘에서 솟는 물맛이 일품이다 관련글 : 완주 옥련암,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소박한 암자 2011. 10. 20.
부안 용화사 부안 용화사 전북 부안군 행안면 부안 기상관측소 작은 길로 들어서면 송정마을 고성산 자락에 용화사가 자리잡고 있다. 용화라는 말은 미륵부처님의 세계를 말하는 용화세계에서 따온 말로 미륵불이 자리잡고 있어 거기서 용화사라는 절 이름도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용화사는 약 1200년전인 백제의자왕 2년경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당시는 백제 말기에 해당하던 때로 백제의 국운이 쇠퇴하고 민심이 흉흉하던 때라고 한다. 이때 인근의 부안 개암사에 주석하고 있던 묘련왕사(묘현선사라는 설도 있음)가 새벽에 장엄한 서광이 비추는것을 보고 그곳에 당도하니 커다란 암석이 있어 그 바위로 미륵불을 조성하고 백제의 국운과 민생의 안락을 위해 참회정진을 하면서 창건했다고 한다. 관련글 : 천년을 지켜온 미륵영험기도도량 주소 전북 부.. 2011. 8. 19.
남원 관음사 남원 관음사 홈페이지 : http://www.kwaneumsa.org/ 063-634-4705 관련글 : http://bud1080.tistory.com/719 남원 만행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관음사의 본래 이름은 안불암으로 고려말엽 이곳 서당마을 위에 위치해 있던 보현사의 산내암자의 하나로 창건되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사찰이 폐사되고 사지를 전답으로 개간하여 사용하던 것을 1958년 현주지 스님의 조부인 김관용 옹께서 사찰중창을 목적으로 전답을 매입하여 관리해 오던 것을 1968년 현 주지 청암스님의 조부 김관용의 유업을 받들어 사찰중창불사를 시작하여 불자들의 돈독한 신심으로 약 13년간의 대작불사 끝에 전통가람의 면모를 일신했다. 이곳 서당마을 뒤 약산에 있는 집시랑 바위에는 얼음이 얼면 이듬해 삼사.. 2011. 7. 10.
남원 영선사 영선사(靈仙寺)는 지리산 기슭인 함양의 명산 오봉산(五峰山) 서쪽 끝자락인 남원시 인월면에 위치하고 있다. 정면으로는 지리산의 조망대로 불리는 삼봉산이 병풍처럼 둘러쳐져 있고 서남쪽으로는 지리산의 덕두봉이 강한 기운으로 외호하고 삼봉산과 덕두봉사이로 반야봉이 신비로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서쪽은 이성계가 왜군을 대파한 기념으로 세운 대첩비가 있는 황산이 있으며 멀리 서북쪽에는 백두대간의 고남산이, 북쪽으로는 역시 백두대간인 봉화산이 자리 잡고 있다. 1976년 초대 주지이신 ‘법련스님’께서 현재의 터에 자리를 잡으셔서 창건한 사찰이지만 이곳은 법련스님이 터를 잡기 이전부터 어떤 형태로든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이유는 현재 영선사 산신각은 거대한 바위 아래 자연 동굴속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 2011. 7. 4.
완주 위봉사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21 ☎ 063-243-7657 관련글 : 완주 위봉사 청정 비구니 스님들의 수행도량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추줄산 위봉사는 백제 무왕 5년(604)에 서암대사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한 근거는 없이 설화로만 전해져 내려오고 있고 1868년 조선 세조때 포련선사가 쓴 ‘위봉사극락전중수기(圍鳳寺極樂殿重修記)’에 따르면 신라 말 최용각(崔龍角)이 말을 타고 전국 산천을 유람할 때 봉산(鳳山) 산꼭대기에 올라가 장대봉에서 보니 남쪽으로 봉황 3마리가 산을 감싸고 있어 이를 보고 이곳에 절을 짓고 위봉사(圍鳳寺)라고 이름지었다는 두가지 이야기가 있다. 고려 공민왕 8년(1358) 나옹화상이 절을 중창하였고 조선 세조 12년(1466) 석잠대사가 수리하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는 .. 2011.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