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9

삼전법륜(三轉法輪] 삼전법륜(三轉法輪] ① 시전(示轉)·권전(勸轉)·증권(證轉), 석존이 세번 4체(諦)의 교(敎)를 말씀한 것. 1, 시전. 이것은 고(苦), 이것은 집(集), 이것은 멸(滅), 이것은 도(道)라고 그 모양을 보인 것.2. 권전, 고(苦)를 알라, 집(集)을 끊으라, 멸(滅)을 증득하라, 도(道)를 닦으라고 권한 것. 3. 증전, 석존이 스스로 고를 알아 집을 끊고, 멸을 증득하려고, 도를 닦은 것을 보여 다른 이들로 하여금 증득케 하는 것.② 근본(根本)·지말(枝末) 섭말귀본(攝末歸本)의 3법륜. 삼론종에서 석존의 50년 동안의 설법을 비판하여, 화엄경>에 말한 교법을 근본법륜, 다음에 지혜가 얕은 이에게 1불승(佛乘)의 교법을 열어 3승의 교를 말씀함을 지말법률, 최후에 법화· 삼론의 교와 같이 3승으.. 2024. 12. 29.
삼재(三災) 삼재(三災)인도에서 세월을 계산할 적에 상수로 미칠 수 없는 긴 세월을 겁(幼)이라 하고, 그 겁말(劫末)에 일어나는 새가지 재해, 이에 소삼재(도병재, 질병재, 기근재), 대삼재(화재, 수재, 풍재)의 구별이 있다.관련글 :대삼재 (大三災) 대삼재 (大三災)대삼재 (大三災) 세계가 괴멸하기 직전에 일어나는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財)를 일컫는 말.studybuddha.tistory.com 2024. 12. 28.
서장(書狀) 서장(書狀) 원래 이름은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이며 『서장(書狀)』 · 『대혜서(大慧書)』 · 『대혜서문(大慧書門)』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송나라 때의 대혜종고(大慧宗杲)선사가 당대의 사대부 관료 40명과 2명의 스님에게 보낸 총 62장(狀)의 서간문(書簡文 편지 형식의 글).이 책은 일상생활에서 불교 수행을 할 때 생기는 의문과 올바른 수행 등에 대하여 주고받은 문답이 주 내용으로, 조용한 경계만을 묵묵히 지켜나가는 묵조선(默照禪)을 배격하고 일상생활에서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看話禪)을 역설하였다. 2024. 12. 22.
수각(水閣) 수각(水閣) 입수(入水 들어오는 물)와 출수(出水 나가는 물)가 적절히 이루어져 언제나 음용 또는 세척 등을 위한 깨끗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흐르는 물을 잠깐 가둘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물통. 2024. 1. 7.
상좌 윗사람을 도운다는 뜻. 곧, 한 스승의 제자를 일컬음. 2024. 1. 6.
사형(師兄) 사형(師兄) 한 스승 밑에서 자기보다 먼저 그 스승의 제자가 된 스님를 높여 이르는 말. 법형(法兄)이라고도 한다. 2024. 1. 5.
사마외도(邪魔外道) 사마외도(邪魔外道) 불법(佛法)에 어긋나는 가르침을 주장하는 외도. ‘사마’란 삿된 마구니라는 뜻으로 불도(佛道)를 성취하기 위한 수행을 장애하는 모든 것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인데, 외도 중 삿된 견해로써 불도 수행자를 어지럽히는 자를 사마외도라 한다. 2024. 1. 3.
삼동결제(三冬結制) 삼동결제(三冬結制) 삼동(三冬, 겨울철의 석 달)에 하는 결제, 동안거(冬安居, 음력 10월 15일부터 다음해 1월 15일까지)를 말한다. 관련글 : 동안거 2024. 1. 1.
쌍찬사감보[雙贊思甘普] 쌍찬사감보[雙贊思甘普] Sron-tsan-Gampo (617~698) 서장(西藏)의 왕. 16세에 왕 위에 올라 신하 16인을 중인도에 보내어 음운(韻)등을 배우게 하고, 2023. 7. 23.
상행대비익 [常行大悲益] 상행대비익 [常行大悲益] 현생(現生) 10종 익(益)의 하나. 염불하는 이가 현세에 얻는 이익 가운데 항상 염불하여 아미타불을 찬탄하면 스스로 남을 교화하고, 대비(大悲)의 행을 닦게 됨을 말함. 2023.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