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타행4

두타행(頭陀行) 두타행(頭陀行) 번뇌진(煩惱塵)을 제거하고 의식주를 간단히 하여 불도를 수행하는 행법. 두타의 행하는 법에 12종이 있으나 그중에서 흔히 걸식하는 행만을 말한다. 관련글 : 번뇌진(煩惱陣) 십이두타 1. 재아란야처(在阿蘭若處) 인가를 멀리 떠나 산이나 숲, 광야의 한적한 곳에 있는 것. 2. 상행걸식(常行乞食) : 늘 밥을 빌어서 생활 함. 3. 차제걸식(次第乞食) : 빈부를 가리지 않고 자례로 걸식함. 4. 수일식법(受一食法) : 한자리에서 먹고 거듭먹지 아니함. 5. 절량식(節量食) : 발우 안에 든 것만으로 만족 함. 6. 중후부득음장(中後不得飮漿)) : 정오가 지나면 과실즙, 석밀(사탕)따위도 마시지 아니 함 7. 착폐납의(착弊衲衣) : 헌옷을 빨아 기워 입음 8. 단삼의(但三衣) : 중의 상의 .. 2012. 3. 18.
고행(苦行) 고행(苦行)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또는 소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괴로운 수행을 하는 일. 본디 인도에서 불교 외의 종교 행자(외도)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육체를 극도로 괴롭힌 수행을 말한다. 12두타 를 말한다.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자기의 신명을 해치는 것. 고행자를 이른다. 모든 것을 버리는 것. 실행하기 어려운 행위. 고역에 종사하는 사람. 2011. 5. 28.
명행족 여래십호 중의 하나로 부처님은 계.정.혜 삼학과 밝은 지혜, 두타행을 두루 갖추고 무상정변지를 얻었으므로 명행족이라 한다. 삼명(三明)과 행업(行業)을 두루 갖추어 중생을 구제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삼명이란 자신과 모든 이의 지난 생애를 아는 숙명명(宿明明)과 자기나 다른 이의 미래세를 알 수 있는 천안명(天眼明)과 현세 모든 번뇌를 알고 이를 없애줄 수 있는 누진명(漏盡明)을 말한다. 행업이란 고락의 과보를 받을 선악의 행위, 몸, 입, 뜻, 즉 신구의(身口意) 삼업으로 나타나는 동작, 언어, 의념(意念)을 뜻한다. * 지혜와 자비의 부처님 일체가 비어서 실체가 없음을 밝게 아시고 중생을 자애롭게 여겨 언제나 버림이 없으시다. 그리하여 대자비의 미묘한 음성으로 세상에 널리 들어가 가르침을 설하신다.. 2011. 2. 20.
두타행 (頭陀行) 두타행 (頭陀行) 두타란 범어로 (Dhuta)입니다. 한문으로는 頭陀, 杜多, 投多라고도 씁니다. 두타가 뜻하는 바는 닦고 털고 버린다는 뜻이 있습니다. 의식주에 대한 탐착을 버려서 심신을 닦는 것을 뜻합니다. 두타수행에는 12항의 생활규범이 있어서 이것을 12두타행이라고 합니다. 1. 인가를 멀리 한 조용한 곳에 머물고 2. 항상 걸식하며 3. 빈부를 가리지 않고 차례로 걸식하고 4. 하루에 한 번 먹으며 5. 절도를 지켜 과식하지 않으며 6. 오후에는 먹지 않으며 7. 헌 누더기 옷을 입으며 8. 옷은 3벌만 가지며 9. 묘지에 머물고 10. 나무 밑에 머물고 11. 빈 땅에 앉고 12. 항상 앉아 수행하고 눕지 않는 것입니다. 이 두타행은 부처님 당시의 인도스님들의 생활규범이었는데, 후세에 와서 두.. 2011.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