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멸진정4

신증(身證) 신증(身證) 성문4과(果)의 제3 불환과(不還果)의 성자로서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간 이. 이 성자는 무심정(無心定)에 있으므로 몸으로 고요한 낙을 증득함. 관련글 : 성문사과(聲聞四果) 불환향(不還向) 멸진정 (滅盡定) 2014. 1. 4.
미미심(微微心) 미미심(微微心) 멸진정(滅盡定)에 들기 전의 극히 미세한 마음. 별진정 전에 3종의 마음이 있다. 첫번째 상심(想心)은 추상(麁相)의 마음 두번째는 점점 미세한 마음 세번째는 그 위에 더욱 미세한 것이므로 미미심이라 한다 이 미미심 뒤에야 비로서 멸진정이 나타난다. 관련글 : 멸진정 (滅盡定) 2013. 6. 8.
시해탈(時解脫) 시해탈(時解脫) 자세하게는 대시해탈(待時解脫)이라고도 한다. 6종의 아라한 중 앞의 5에 해당. 제6의 부동법(不動法)에 비교하면 성품이 둔근(鈍根)이러서 승연(勝緣)의 시기를 만나지 못하면 멸진정(滅盡定)에 들어가지 못하므로 대시(待時)라 하고 그 마음은 번뇌장(煩惱障)에서 벗어났으므로 해탈이라 함. ↔ 불시해탈(不時解脫) 관련글 : 해탈(解脫) 멸진정 (滅盡定) 2013. 6. 6.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색, 심, 심소에 포괄되지 않는 유위의 존재 요소. 득(得, 현실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끊임없이 상속하여 갖추어져 있는 번뇌), 비득(非得, 아라한은 번뇌를 여의고 있기에 비록 세속심을 일으키더라도 번뇌의 득이 상속에 구비되어 있지 않다. 번뇌를 끊으면 그 번뇌에 대해서는 비득), 중동분(衆同分, 생물에 차별이 생기게 하는 원리, 개개의 생물에 내재하고 있다. 소에게는 牛同分, 말에게는 馬同分), 무상과(無想果, 무상정에 들어간 사람이 사후에 태어나는 세계), 무상정(無想定, 무념무상의 상태, 마음의 想의상태가 멸해버린 것), 멸진정(滅盡定, 마음의 受의 단계까지 멸해버린 것) 명근(命根,생명의 지속력) 생(生),주(住),이(異),멸(滅, 이 넷은 찰나멸을 성립시키는 힘) 명.. 2012.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