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착4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기본경전의 하나. 중국에 전해진 것은 미륵(彌勒)의 것이고 티벳에 전해진 것은 무착(無著)이라고 한다. 서유기에 나오는 현장법사가 서역에 간 것은 바로 이 ‘유가사지론’을 얻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여기서 유가사(瑜伽師)는 유가행을 수행하는 사람을 이른다. 고로 유가사지(瑜伽師地)는 유가행의 수행과정을 지칭하는 말이다. 한역(漢譯)은 100권이다. 이것은 본지분(本地分), 섭결택분(攝決擇分), 섭택분(攝擇分), 섭이문분(攝異門分), 섭사분(攝事分)등 다섯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핵심은 본지부에 있다. 모두 17단계(地)로 나누어 유가행의 수행과정과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유가사지론’을 일명 ‘십칠지론(十七地論)’이라고도 한다. 2011. 7. 30.
섭론종(攝論宗) 섭론종(攝論宗) 인도 승려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大乘論)을 중심경전으로 하는 불교학파. 섭론학파라고도 한다. 중국 불교 13종의 하나다. 인도의 진제(眞諦)가 번역하면서 섭론종의 학파가 결성되었다. 혜개(慧愷) 법태(法泰) 도니(道尼) 담천(曇遷) 등이 섭론종의 전파에 기여했다. 그러다 당나라 현장(玄?)이 법상종을 개창하면서 하나로 통합되었다. 2011. 5. 14.
안혜(安慧) 안혜(安慧) 6세기경 인도 유식불교의 권위자. 유식 10대론사(大論師)중의 하나다. 범어로는 스티타마티. 실치라말저(悉恥羅末底)라고 음역한다. 의역하여 안혜(安慧)다. 그는 남인도의 경라라국(境羅羅國)사람으로 같은 유식 10대론사의 하나인 덕혜(德慧)의 제자였다. 덕혜(德慧)와 안혜(安慧)는 무착(無着)과 세친(世親)의 유식(唯識)을 계승했다. 이른바 무상유식(無相唯識)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안혜는 발라비국에 성(聖)밧파디야사(寺)를 세웠다. 다라세나 2세가 여기에 보시했다는 비문이 남아 있다.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도 덕혜와 견혜(堅慧)가 이 절에 머물면서 논(論)을 지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때의 견혜가 안혜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저서로는 구사론을 주석한 아비달마구사석광주진실의(阿毘達磨俱舍釋廣註.. 2011. 4. 7.
섭대승론(攝大乘論) 섭대승론(攝大乘論) 인도 대승불교 유가행파(瑜伽行派)의 사상가 무착(無著 아산가)의 저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의 저자로 알려져 있는 미륵(彌勒)의 가르침을 받고 유식(唯識)사상을 조직적으로 논술한 불후의 명저다. ‘섭대승론’은 그야말로 대승불교의 총론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용수의 중관사상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유식설(唯識說)의 근원인 대승아비달마경(大乘阿毘達磨經)등 유식의 경론들을 잘 분석하여 10장으로 제시한 논전(論典)이다. 후위(後魏)의 불타선다(佛陀扇多)에 의해 한역되었으나 아무도 돌보지 않았다. 그 후 진제(眞諦)의 번역에 의해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섭론종(攝論宗)이 나오게 되었다. 당나라 때 이르러 현장(玄?)의 한역이 나오자 신구번역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 2011. 3.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