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수보살12

협시보살 협시 협시는 가까이에서 모신다는 뜻으로 부처님을 옆에서 모시는 분을 협시보살이라 부른다. 보통삼존불을 봉안할때 석가모니불이 주불인 경우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을 모시고 이 두보살을 협시보살이라 한다. 아미타부처님의 경우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 보살 혹은 지장보살을 협시 보살로 봉안한다. 2012. 1. 10.
문수보살 문수보살 불교에서 관음보살, 보현보살과 더불어 주된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대승보살(大乘菩薩) 중 하나.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이다. 범어로는 만주슈리(Majushri)이다. 더 줄여서 문수(文殊)라고도 한다. 여기서 문수(文殊)는 묘(妙)하다는 뜻이고 사리는 길상(吉祥)이라는 의미다. 합쳐서 묘길상(妙吉祥)으로 푼다. 문수보살은 석가모니불의 삼존으로 보현보살과 언제나 콤비를 이룬다. 또한 비로자나불의 삼존으로도 보현보살과 더불어 봉안되고 있다. 고로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은 행원(行願)의 상징인 보현보살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문수보살은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칼을, 왼손에는 청련화(靑蓮花)를 들고 있다. 그리고 용맹과 위엄의 상징인 사자를 타고 있다. 화엄경.. 2011. 11. 23.
보현보살 보현보살 석가모니불을 오른쪽에서 보좌하는 보살로, 한량없는 행원(行願)을 상징함. 보현보살 감정이나 본능에 치우치지 않는 슬기로운 마음과 깨달음의 덕을 갖추고 석가모니를 돕는 보살. 보통 흰코끼리를 타시고 석가모니불 오른쪽에 계신 분. 보현보살 관음, 문수, 지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보살 중 행원(行願)을 상징하는 보살. 언제나 문수보살과 함께 삼존불 시스템을 이룬다. 한산(寒山)과 습득(拾得)의 일화도 문수와 보현의 화현으로 보기도 한다. 그만큼 문수와 보현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이다. 그러나 단독으로도 신앙과 숭배의 대상이 된다. 범어로는 사만타바드라. 흔히 보현(普賢)으로 의역된다. 부처님의 이덕(理德)과 정덕(定德)과 행덕(行德)을 담당한다고 한다. 화엄경에 따르면 보현보살은 비로자나불 아래에서.. 2011. 11. 15.
명부의재판관 명부의재판관 명부에는 모두 10명의 재판관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49일 동안 만나는 재판관은 모두 일곱명뿐이다. 나머지 세명은 재심재판관이다. 명부시왕을 들어보면 제1코스 담당이 진광대왕(秦廣大王)이다. 원래의 모습은 부동명왕(不動明王)이다. 제 2코스 담당이 초강대왕(初江大王)이다. 역시 정체는 석가여래다. 제 3코스 담당이 송제대왕(宋帝大王)이다.문수보살의 화현이다. 제 4코스의 재판관은 오관대왕(五官大王)이다. 보현보살의 화현이다. 제 5코스는 명부의 슈퍼스타 염라대왕(閻羅大王)이다. 지장보살의 화현이다. 제6 코스는 변성대왕(變成大王)이 맡고 있다. 미륵보살이 원래의 정체라고 한다. 마지막 제 7코스는 태산대왕(泰山大王)의 담당구역이다. 약사여래께서 나투신 것이다. -관련글 명부(冥府) 명부전.. 2011. 10. 27.
관음전 관음전 항상 중생의 소리를 관하여 모든 고통에서 구제해 주시는 관세음보살을 모신 법당으로 원통전,원통보전,자비전이라고도 하며 남순동자,해상용왕이 같이 있다. 관음전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당을 관음전이라 이른다. 그러나 관음보살을 모신 전각이 주불전인 경우에는 원통전(圓通殿)이라고 부른다. 부불전인 경우에 관음전이라 한다. 여기서 원통(圓通)이라 함은 관음보살이 원만(圓滿)?융통(融通)하게 온 세상을 비추어 주고 있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중국에서는 대비전(大悲殿)이란 현판을 많이 건다. 관음은 자비와 사랑의 화신이다. 관세음보살을 칭명하기만 해도 모두를 해탈시켜 준다는 고난에 찬 현실극복의 메시아다. 미래나 환상의 구원자가 아니다. 관음신앙은 보살신앙에서 비롯된다. 보살신앙은 부처와 범부중생의 무한 거리.. 2011. 10. 3.
문수(文殊) 보살 문수(文殊) 보살 문수 보살은 문수사리(師利) 또는 문수시리(尸利)라고도 표기되는 보살로서 묘덕(妙德), 묘수(妙首), 묘길상(妙吉祥)으로 번역된다. 즉 석가모니불의 왼쪽에 위치하여 석가불의 지혜를 상징하는데 머리에 5계(髻;상투)를 맺고 바른손에 지혜의 칼을 들고 왼손에는 꽃 위에 지혜의 그림이 있는 청련화를 쥐고 사자를 타고 있다. 이미 성불하여 용존상불(龍尊上佛).대신불(大身佛).신선불(神仙佛)이라 하며 또 미래에 성불하여 보견 여래(普見如來), 현재의 북방 세계의 환희장마니보적 여래라고도 이름하고, 오대산(청량산)에서 1만 보살과 함께 있다고도 한다. 문수 보살의 형태는 문수 5지(智)라 하여 5계(髻)를 맺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대일여래의 5지(智)를 상징하는 것이다. 대체로 조각상에서는.. 2011. 8. 30.
마등가(摩登伽 Matanga) 마등가(摩登伽 Matanga) 인도에서 가장 천하게 여기는 백정(白丁)가은 종성(種姓)의 남자를 일컫는 말이다. 여자는 마등기(麻登祇)라 한다. 그들 가운데서 발길제(鉢吉帝 Prakrti)라 하는 여인이 아난존자를 보고 부정한 마음을 일으켜서 요망한 주술(呪術)로써 아난을 유인하여 그 방 안에 붙잡아 두었다. 그 때 문수보살이 정광신주(頂光神呪)로써 두 사람을 건져내었다. 그 여인은 마침내 머리를 깍고 기원정사(祇園精舍)에 가서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곧 깨쳐서 아라한(阿羅漢)이 되었다. 관련글 보기 : 마등가아란야 (摩登伽阿蘭若) 2011. 7. 24.
화엄경 (華嚴經) 화엄경 (華嚴經) 범어 Garland Sutra. 불경의 하나. 원제목은 산스크리트로《Buddha―avatam․saka-mahavaipulya―sutra(부처의 華嚴이라고 이름하는 大方廣의 經)》한역명은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한 경전이며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가장 훌륭하게 드러낸 것으로 산스크리트 원본은 전하지 않고 티베트어 번역본이 완역본으로 전해진다. 한역본은 북인도 출신 승려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 번역의 60권본과 중국 당(唐)나라 때 승려 실차난타(實叉難陀) 번역의 80권본, 반야(般若) 번역의 40권본 등이 전해지는데 40권본은 60권본․80권본의 마지막 장인 에 해당하므로 완역본은 아니다. 구성은 60권본이 34품, 80권본이 39품, 티베트본이 45품으로 되.. 2011. 7. 15.
각모(覺母) 각모(覺母) 깨달은 이의 어머니. 불모라고도 한다. 부처가 되는 인으로서의 수행ㆍ지혜 등을 말한다. 문수보살의 일컬음. 문수보살은 지혜를 상징하는데, 모든 부처는 지혜에서 출생하기 때문에 깨달음의 어머니라고 한다. 반야보살을 어머니에게 비유하여 말한 것. 2011. 3. 31.
문수사리보살 문수사리보살 지혜를 일깨워 주는 보살. 석가가 죽은 후 인도에 태어나 ‘지혜’의 도리를 널리 알리고, 반야경(般若經)을 결집, 편찬한 보살로도 알려져 있다. 때때로 경전을 손에 쥔 모습으로 조각되고 묘사되는 일이 많다. 석가모니불을 왼쪽에서 보좌하는 보살로, 부처의 지혜를 상징함. 묘길상(妙吉祥)․ 묘덕(妙德)․ 유수(濡首)라 번역. 관련글 : 문수보살예찬문 문수사리(文殊師利) 보현보살 2011.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