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오3

의초부목(依草附木) 의초부목(依草附木) ① 호리(狐狸 여우나 삵과 같은 동물)의 종류가 초목에 의지하여 변화하듯이 수행하는 이가 언어와 문자에 구애되어 진여(眞如)의 본성(本城)에 바로 나아가지 못하는 데 비유, ② 사람이 죽어 다음 생을 받지 못하는 중간에 영혼이 큰 나무나 풀 그늘에 머무듯이 수행하는 이가 이 몸에 일어나는 일분 번뇌를 끊었으나 마치 범성(凡聖)․미오(迷悟)의 차별적 견해로서 벗어나지 못하여 참말 깨달은 경계에 들지 못함에 비유 2013. 12. 17.
대승의 열반관 대승의 열반관 부처님의 죽음에서 최고의 이상경(무여의열반)을 발견한 불제자들은 육체의 사멸을 열반의 불가결한 조건으로 생각게됐다. 이것을 '회신멸지(灰身滅智)' 즉 몸이 재가 될 때 인식작용도 없어지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이에 대해 대승불교는 열반의 세계 피안을 별개의 세계에서 찾지 않고 생사윤회의 세계 그대로가 마음의 전환에 의해 열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서는 이 세상의 중생을 구하는 부처님의 자비가 강조된다. 대승의 이상상(理想像)으로서 보살은 부처님의 자비행을 대행하는 존재다. 보살은 중생이 있는 한 피안으로 건너가지 않고 이 세상에 머물며 중생구제를 위한 삶을 산다. 대승경전은 이 보살의 삶을 가리켜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이라 부르고 있다. 무주처란 지혜로운 존재이므로 생사윤회에 머.. 2012. 3. 5.
가지성불(加持成佛) 가지성불(加持成佛) 중생의 몸과 마음이 그대로 부처라고 함은 이지(理智)가 본래 갖추어 있다는 이론상의 일이고 실제로 범부는 아직 그 덕상이 실현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중생과 부처 미(迷)와 오(悟)를 상대하여 아직 이루지 못한 범부가 부처님을 흠앙하는 신심(信心)과 이미 이룬 부처님이 베푸는 대비력(大悲力)이 서로 어울려서 범부에게 본래 갖추어진 실덕(實德)이 잠간 동안에 나타난다는 종교적인 수양에 따른 실제상의 성불을 나타낸다. 관련글 보기 : 가지력(加持力) 가지향수(加持香水) 가지(加持 Adhisthana) 2011.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