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야경9

법화일승(法華一乘) 법화일승(法華一乘) 법화경에서 밝힌 일승 진실한 교법. 화엄경, 방등경, 반야경등에도 얼마쯤 원리(圓理)를 포함하였거니와 순원독묘(順圓獨妙)한 보살 일승의 교법을 말한 것은 법화경뿐이라는 말. 관련글 : 법화경 방등경 반야경(般若經) 2015. 8. 6.
방등부(方等部) 방등부(方等部) 대승 경전가운데 , , , 등 4부(部)의 여러경을 제한 다은 모든 경전을 일컫는다. 관련글 : 화엄경 (華嚴經) 반야경(般若經) 법화경 열반경 (涅槃經) 2015. 5. 9.
공반야(共般若) 공반야(共般若) 성문ㆍ연각ㆍ보살의 3승에 공통으로 설하는 반야의 법문. 대승의 등의 모든 경전의 설을 말함. 불공반야의 반대말. 관련글 삼승(三乘) 연각(緣覺) 성문(Sravaka 聲門) 불공반야(不共般若) 반야(般若) 2011. 8. 5.
향성(香城) 향성(香城) 《반야경》에서 설한 법용(法涌) 보살의 주처(住處). 상제(常啼)보살 이 이곳에서 몸을 희생하여 반야바라밀다를 구했다고 함. 2011. 4. 19.
상제보살(常啼菩薩 Sadapralapa) 상제보살(常啼菩薩 Sadapralapa) 살타파륜(薩陀波崙)이라 음역. 《지도론》제96에 있는 보살. 어렸을 때 울기를 잘 했고, 또 중생들이 고통 세계에 있음을 보고 운다고 하며, 또 부처님 없는 세상에 나서 공한림중(空閑林中)에서 걱정하며 울므로 용 귀신이 이렇게 이름 지었다고 함. 16선신(善神)의 그림에는 《반야경》의 수호자라 함. 2011. 4. 1.
중론(中論) 중론(中論) 대승불교(大乘佛敎) 중관파(中觀派)의 근본경전으로 445수의 게송(偈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도의 위대한 불교학자인 용수(龍樹)가 지었다. 반야경(般若經)에 바탕한 대승공관(大乘空觀)의 입장에서 불교의 연기설을 밝힌 책이다. 후일의 대승불교는 모두 이 사상을 이어 받았다. 그래서 용수를 팔종(八宗)의 시조라고 한다. 중론의 중심사상은 연기(緣起)와 무자성(無自性) 공(空)사상으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우선 팔불(八不: 不生,不滅,不去,不來,不斷,不常,不一,不異)을 바탕으로 자성(自性)을 완전 부정하고 일체존재는 연기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것을 깊이 체득한 것을 공(空)이나 중도(中道)라고 한다. ‘중론(中論)’은 용수의 ‘십이문론(十二門論)’, 제바(提婆)의 ‘백론(百論).. 2011. 3. 31.
방등경 방등경 대승경전을 총칭하는 말이다. 대승경을 말하는 것은 횡(橫)으로 시방(十方)에 두루 방광보편[方廣普遍:대승경에서 말한 이치는 방정(方正)한 것이므로 방{方:동서남북 사유상하(四維上下)등의 방소(方所)]이라 하며, 뜻이 원만히 구비되고 언사(言事)가 풍족하므로 광(廣)이라 한다]의 실(實)다운 이치이며, 범부나 성인들을 포함한 평등한 교(敎)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방등 대승부 : 화엄경, 반야경, 법화경, 열반경 등이다] 2011. 3. 25.
육유(六喩) 육유(六喩) 경전에서 말한 6종의 비유. ① 반야경의 6유. 夢(꿈)․幻(요술)․泡(물거품)․影(그림자)․露(이슬)․電(번개) ② 정명경의 6유. 幻(요술)․電(번개)․夢(꿈)․焰(불꽃)․水中月(물속의 그림자)․鏡中像(거울속의 영상) 2010. 12. 29.
도안(道安 312~385) 도안(道安 312~385) 중국의 승려. 허베이성(河北省) 창산푸류현(常山扶柳縣) 출생. 12세에 출가하여, 총명하였으나 용모가 너무 못생겨 스승에게서 귀염도 받지 못한 채 논밭에서 3년 동안 일하였다. 어느날 《변의경(辯意經)》과《성구광명경(成具光朋經)》을 배운 뒤 곧 외어서 스승을 놀라게 하였다. 유학이 허락되어 서역승(西域僧) 불도징(佛圖澄)을 스승으로 섬기고, 법제(法濟)․지담(支曇) 등에게 배웠다. 스승이 죽은 뒤 혜원(慧遠) 등 400명 가량의 문하생을 거느리고 샹양(襄陽)에 단계사(壇溪寺)를 세워 엄숙한 구도연수(求道硏修)의 교단을 조직하여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았다. 379년 전진(前秦)의 왕 부견(符堅)이 샹양을 공략한 뒤 도안을 장안(長安)으로 맞아들여 오중사(五重寺)에서 경전을 번역․.. 2010.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