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우3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 《太古和尙語錄》은 보우(普愚스님 1301∼1382)의 문집이다. 상하 2권으로 되어 있으며, 권上에는 법어류(法語類)와 가음명류(歌吟銘類)가, 권下에는 게송(偈頌)과 찬발류(贊跋類)가 실려 있고, 부록으로 書·疏·榜 등의 文과, 유창(維唱)이 쓴 보우(普愚)의 행장(行狀 1383), 이색(李穡)이 쓴 보우(普愚)스님의 탑명(塔銘 1386) 등이 있다. 序文은 이색(李穡 1386)과 숭인(崇仁 1387)이 썼다. 관련글 : 태고보우(太古普愚) 2012. 4. 26.
태고보우(太古普愚) 태고보우(太古普愚) 1301(忠烈王 27년)~1382(禑王 8년) 고려 말기의 승려 보우의 법호. 일명 보허. 속성은 홍씨. 13세에 양주 회암사에서 광지에게 중이 되고, 19세에 가지산총림에서 도를 닦아 26세에 화엄선에 합격하다. 30세에 룡문산 상원암, 서성의 감로사에서 고행 정진하여 지혜가 크게 열리었으며 38세 때 송도 전단원에서 참선하다가 다음해 정월에 크게 깨치다. 41세 때 삼각산 중흥사 동쪽에 태고암을 짓고 오랫동안 주석하면서 호를 태고라하고 태고암가를 짓다. 46세 때 중국에 건너가 약 2년 동안 행유하면서 元나라 황제로부터 특별한 우대를 받아 두어 차례 법회를 주관했으며 또 임제선사의 18대 법손으로서 당시 중국의 고승인 석옥청공선사의 법을 잇다. 48세 때 본국에 돌아와 룡문산에 소.. 2010. 9. 21.
임제종(臨濟宗) 임제종(臨濟宗) 불교의 한 종파. 조동(曹洞)과 황벽(黃檗)의 두 종파가 합쳐 선종(禪宗)이라고 총칭한다. 당(唐)나라 말기의 임제의현(臨濟義玄)을 개조(開祖)로 하여, 참선문답(參禪問答)에 의한 자기규명을 종지(宗旨)로 삼았다. 선종 5가(家)중 두 번째로 성립된 종파가 임제종이다. 남악회양(南嶽懷讓)의 계보인 임제의현(臨濟義玄)이 창종했다. 임제종은 조동종과 더불어 선종의 2대법맥으로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사실상 중국 선종의 주봉(主峰)이라 할수 있다. 임제라는 종명(宗名)은 그가 하북성 진주(鎭州) 호타하기슭에서 임제원(臨濟院)을 짓고 학인을 지도하였기 때문에 유래한 것이다. 임제종의 가풍은 일체의 전통과 권위를 무너뜨리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언제나 현실생활에서 자기가 주체가 되어 불법을 .. 2010.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