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현보살9

선재동자(善財童子) 선재동자(善財童子) 범어 Sudhana 화엄경 에 나오는 구도자. 53선지식을 두루 찾아뵙고 맨 나중에 보현보살을 만나서 10대원(大願)을 듣고 아미타불 국토에 왕생하여 입법계(入法界)의 지원(志願)을 채웠다 함. 선재동자의 구법에 의하여 입법계의 차제를 표함. 2013. 3. 2.
협시보살 협시 협시는 가까이에서 모신다는 뜻으로 부처님을 옆에서 모시는 분을 협시보살이라 부른다. 보통삼존불을 봉안할때 석가모니불이 주불인 경우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을 모시고 이 두보살을 협시보살이라 한다. 아미타부처님의 경우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 보살 혹은 지장보살을 협시 보살로 봉안한다. 2012. 1. 10.
행원 행원 일을 이루고자하는 마음(願)과 실천(行) 대승보살도를 실천 궁행하며, 불교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행위. 관련글 : 보현행원품 보현행 보현보살 2011. 11. 30.
문수보살 문수보살 불교에서 관음보살, 보현보살과 더불어 주된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대승보살(大乘菩薩) 중 하나.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이다. 범어로는 만주슈리(Majushri)이다. 더 줄여서 문수(文殊)라고도 한다. 여기서 문수(文殊)는 묘(妙)하다는 뜻이고 사리는 길상(吉祥)이라는 의미다. 합쳐서 묘길상(妙吉祥)으로 푼다. 문수보살은 석가모니불의 삼존으로 보현보살과 언제나 콤비를 이룬다. 또한 비로자나불의 삼존으로도 보현보살과 더불어 봉안되고 있다. 고로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은 행원(行願)의 상징인 보현보살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문수보살은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칼을, 왼손에는 청련화(靑蓮花)를 들고 있다. 그리고 용맹과 위엄의 상징인 사자를 타고 있다. 화엄경.. 2011. 11. 23.
보현행 보현행 분별없이 평등하게 모두를 대하고 행하는 공부법. 보현행 ⑴원만하고 완전한 수행. ⑵보현보살의 실천. 관련글 : 보현보살 보현행원품 관세음보살 보문품 듣기 2011. 11. 20.
보현보살 보현보살 석가모니불을 오른쪽에서 보좌하는 보살로, 한량없는 행원(行願)을 상징함. 보현보살 감정이나 본능에 치우치지 않는 슬기로운 마음과 깨달음의 덕을 갖추고 석가모니를 돕는 보살. 보통 흰코끼리를 타시고 석가모니불 오른쪽에 계신 분. 보현보살 관음, 문수, 지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보살 중 행원(行願)을 상징하는 보살. 언제나 문수보살과 함께 삼존불 시스템을 이룬다. 한산(寒山)과 습득(拾得)의 일화도 문수와 보현의 화현으로 보기도 한다. 그만큼 문수와 보현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이다. 그러나 단독으로도 신앙과 숭배의 대상이 된다. 범어로는 사만타바드라. 흔히 보현(普賢)으로 의역된다. 부처님의 이덕(理德)과 정덕(定德)과 행덕(行德)을 담당한다고 한다. 화엄경에 따르면 보현보살은 비로자나불 아래에서.. 2011. 11. 15.
불자 (拂子) 불자 (拂子) 짐승의 털, 삼(痲)등으로 만든 일종의 총채. 벌레를 쫓을 때 씀. 선(禪)에서는 마음의 잡념을 쓸어낸다는 상징물. 수행자가 마음의 번뇌망상을 털어 버리는데 사용하는 상징적 의미의 불구(佛具)다. 번뇌의 먼지를 턴다고 해서 불진(拂塵)이라고도 한다. 원래의 용도는 모기가 많은 인도에서 모기를 쫓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한다. 사실 참선의 가장 무서운 적은 수마(睡魔)와 모기일 것이다. 이런 불자가 후대에 와서 조사나 주지의 신성과 권위를 나타내는 상징법구로 바뀐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사의 초상화에 언제나 나타나고 있는 도구다. 대개 백불(白拂)이다. 불자중에서도 흰 말의 꼬리로 만든 백불을 가장 신성시하기 때문이다. 관음보살은 왼손에, 보현보살은 오른손에 백불을 잡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관세음보.. 2011. 11. 8.
명부의재판관 명부의재판관 명부에는 모두 10명의 재판관이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49일 동안 만나는 재판관은 모두 일곱명뿐이다. 나머지 세명은 재심재판관이다. 명부시왕을 들어보면 제1코스 담당이 진광대왕(秦廣大王)이다. 원래의 모습은 부동명왕(不動明王)이다. 제 2코스 담당이 초강대왕(初江大王)이다. 역시 정체는 석가여래다. 제 3코스 담당이 송제대왕(宋帝大王)이다.문수보살의 화현이다. 제 4코스의 재판관은 오관대왕(五官大王)이다. 보현보살의 화현이다. 제 5코스는 명부의 슈퍼스타 염라대왕(閻羅大王)이다. 지장보살의 화현이다. 제6 코스는 변성대왕(變成大王)이 맡고 있다. 미륵보살이 원래의 정체라고 한다. 마지막 제 7코스는 태산대왕(泰山大王)의 담당구역이다. 약사여래께서 나투신 것이다. -관련글 명부(冥府) 명부전.. 2011. 10. 27.
보현행원품 에 수록되어 있으며 보현보살의 서원과 실천을 서술한 것이다. 선재동자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53선지식을 차례로 찾아가 가르침을 묻고,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찾았을 때 보현보살이 설한 법문을 모았다. 옛부터 보현보살의 실천적 서원을 특히 중요하게 여겨 방대한 화엄경에서 따로 분리시켜, 이 한 품을 별도로 간행했다. 내용을 살펴보면 부처님의 공덕을 성취하려면 보현보살의 열 가지 서원과 실천을 닦아야 하는데, 즉 모든 부처에게 예배함, 부처의 공덕을 찬탄함, 널리 공양함, 잘못을 참회함, 남이 지은 공덕을 기뻐함, 설법을 청함, 부처에게 이 세상에 오래 머물기를 청함, 항상 부처의 가르침을 배움, 항상 중생의 뜻에 따르고 이롭게 함, 지은 공덕을 널리 회향하는 것이라고 밝힌 다음 이것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를.. 2011.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