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성8

실유불성(悉有佛性) 실유불성(悉有佛性) 중생에게는 모두 다 부처가 될 본성이 있다는 말. 실대승가(實大乘家)에서 주장하는 것. 관련글 : 불성(佛性) 2014. 2. 24.
의초부목(依草附木) 의초부목(依草附木) ① 호리(狐狸 여우나 삵과 같은 동물)의 종류가 초목에 의지하여 변화하듯이 수행하는 이가 언어와 문자에 구애되어 진여(眞如)의 본성(本城)에 바로 나아가지 못하는 데 비유, ② 사람이 죽어 다음 생을 받지 못하는 중간에 영혼이 큰 나무나 풀 그늘에 머무듯이 수행하는 이가 이 몸에 일어나는 일분 번뇌를 끊었으나 마치 범성(凡聖)․미오(迷悟)의 차별적 견해로서 벗어나지 못하여 참말 깨달은 경계에 들지 못함에 비유 2013. 12. 17.
범성일여(凡聖一如) 범성일여(凡聖一如) 범성불이(凡聖不二)라고도 한다. 범부와 성인이 차별이 있는듯이 보이지만 그 본성인 진여는 똑같다고 하는 것. 관련글 : 진여(眞如) 범부(凡夫) 2013. 7. 1.
광명심전 광명심전 밀교에서 사람의 마음이 본래 깨달음의 본성을 갖추고 있음을 말한다. 이 사람의 마음의 본성은 대일여래가 의거하는 곳이며, 또한 오지가 의거하는 곳이므로 전당에 비유한다. 모든 인간의 덕은 여기로부터 생긴다. 이 심전은 색구경천에 있다고 한다. 2011. 10. 12.
법계(法界) 법계(法界) 범어 Dharma-dhatu의 번역. 달마태도라 음역한다. 십팔계의 하나. 의식의 대상인 모든 사물을 말함. 구사론 권1에는 수․상․행의 삼온과 무표색과 무위법을 법계라 한다. 십이처에서는 법처라 하고, 다만 십팔계에서는 다른 십칠계도 법이라고 이름하므로 널리 유위․무위의 모든 제법을 법계라고 하기도 한다. 크게는 우리의 의식세계, 사유, 인식의 세계를 일컬어 ‘법계’라고 한다. 또 그 밖에 우리의 눈앞에 보이는 현상 세계, 우리들이 살아가고 있는 이 세계, 삼라만상, 고(苦)와 낙이 교차하는 이 세계를 지칭하는 때도 많다. 정신의 영역, 현상계를 통칭하는 말이다. 말이 쓰이는 경우에 따라 계는 종족생본, 곧 하나의 산 가운데 금은동등 종종의 광맥이 있는 것처럼 일신 가운데 안 등의 제법이 .. 2011. 8. 3.
여여(如如) 여여(如如) 있는 그대로 보여 지고 느껴지는 마음 상태. 모든 현상의 본성. 만유제법(萬有諸法)의 이체는 동일 평등함으로 여(如). 한 여에 일법계만차(一法界萬差)의 제법을 갖추어 어느 것이든지 체(體)로 말하면 여(如). 여의 뜻이 하나만이 아니므로 여여(如如)라 한다. 여하고 여하다는 뜻 2011. 4. 10.
견성(見性) 견성(見性) 본래 그대로의 자기의 본성을 보는 일. 참된 자기를 깨닫고 앎으로써 깨달은 자가 되는 것을 선종(禪宗)에서는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고 말한다. 선(禪)에서는, 인간의 본성은 불성(佛性) 그대로이며 그 밖에 본성이라고 인정할 만한 것은 없다고 본다. 이 불성을 열어 나타내는 것이 견성성불이다. ‘성품(性)을 본다(見)’는 말인데 ‘진리를 깨친다’는 뜻이다。자기의 심성을 사무쳐 알고, 모든 법의 실상인 당체(當體)와 일치하는 정각(正覺)을 이루어 부처가 되는 것을 견성성불이라 한다. 관련글 견성성불(見性成佛) 선종의 유래 선종 2011. 1. 18.
오욕 (五慾) 오욕 (五慾) 색성향미촉 (色․聲․香․味․觸)의 오경(五境). 이 다섯 가지가 모든 욕망(慾望)을 일으키므로 욕(慾)이라 함. 또는 진리(眞理)를 더럽히기 때문에 진(塵)이라고도 한다. 재욕(財欲)․색욕(色欲)․탐욕(貪欲)․명욕(名欲)․수면욕(睡眠欲)의 다섯 가지 욕심. 본래 한물건 없는 가운데에서 무단히 상(相 )을 보며, 다시 생명을 보며 분별하고 호오를 보며 취사 집착하여, 본래 걸림없이 자유스럽고 스스로 원만한 자기의 본곳을 등지고 항상 바깥으로 달리어 얻기에 허덕이는 것이 중생인 것이다. 이 밖으로 얻고져 구하고 치달리는 중생의 마음 취향이 곧 욕심인데 이 욕심을 크게 다섯가지로 나누어 오욕이라 한다. 이 오욕의 근본은 곧 탐(貪)이며 탐의 근본은 애(愛) 며, 애의 근본은 우리 본성(本性)의 .. 2010.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