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공5

염무감(念無感) 염무감(念無感) 18불공법의 하나. 부처님이 일체 지혜를 구족하고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마음에 넉넉한 생각이 없는 것. 관련글 :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2013. 10. 16.
단공(但空) 단공(但空) 만유의 모든 법이 공하다는 한편만 알고 불공(不空)의 이치는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부단공(不但空) 단공삼매(但空三昧) 공하지 아니한 이치를 알지 못하고 공하다는 한쪽만을 고집하는 선정(禪定) 2012. 9. 13.
진언종 진언종 진언종의 뿌리는 밀교(密敎)다. 중국 진언종은 7, 8세기때 승려인 선무외(善無畏), 금강지(金剛智), 불공(不空)이 씨를 뿌렸다. 물론 이전에도 중국에 밀교는 있었다. 하지만 기복과 호신을 비는 잡밀(雜密)이었다. 순밀(純密)의 전래는 이들 세 승려때부터이다. 진언종의 근본경전은 선무외가 번역한 ‘대일경(大日經)’과 불공이 번역한 ‘금강정경(金剛頂經)’이다. 밀교에 대척되는 종교는 현교(顯敎)라 불렀다. 밀교가 등장하기 이전의 종교인 것이다. 밀교가 일승교(一乘敎)라면 현교는 삼승교(三乘敎)다. 또 밀교가 실교(實敎)라면 현교는 권교(權敎)라고 풀었다. 밀교는 돈교(頓敎)이고 현교는 점교(漸敎)라고 해석했다. 이러한 것을 교상판석(敎相判釋)이라고 한다. 또한 밀교는 대일여래의 지혜를 나타내는 금.. 2012. 3. 2.
공미(供米) 공미(供米) 부처님 공양하는 쌀을 말한다. 다른말로 공양미라고 한다. 불향(佛餉), 불공(佛供) 이라고도 한다 2011. 7. 30.
공양(供養) 공양(供養) 공양(Pujana)은 깨끗한 마음으로 꽃, 향, 촛불, 등(燈), 음악 등을 삼보(三寶; 佛, 法, 僧),부모, 스승에게 받들어 올리거나, 우리 이웃의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어떤 물건이나 참다운 진리의 가르침을 베풀어주는 것을 말한다. 공양의 풍속은 원래 인도에서 종교적 성자(聖者)나 스승, 부모에게 가르침을 받고 그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뜻으로 음식이나 옷을 올린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특히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것을 불공(佛供)이라고 한다. 공양하는 물건이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몸으로 하는 예배 공경과 입으로 하는 찬탄과 뜻으로 부처님을 생각하고 존중하는 공양, 이 세 가지를 삼업공양(三業供養)이라 하며, 음식, 의복, 탕약, 방사(房舍),등을 사사공양(四事供養)이라고 한다... 2011.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