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과11

성도(成道) 성도(成道) 성불(成佛), 성등정각(成等正覺)이라고도 함. 불과(佛果)에 이르는 도(道)인 수행을 이룸 2015. 10. 12.
불도(佛道) 불도(佛道) 불과(佛果) ․ 보리(菩堤)의 과덕(果德) 불과에 이르는 길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 2015. 7. 26.
불계(佛戒) 불계(佛戒) 불성계(佛性戒), 불승계(佛乘戒)라고도 한다. 의 대승계를 말한다. 이 계를 받아 지니면 중생이 본래부터 갖추어 있는 불성을 개발하게 되고 불성을 개발하면 불과(佛果)에 이르게 된다. 관련글 : 범망경(梵網經) 불성(佛性) 불성계(佛性戒) 불승계(佛乘戒) 2014. 8. 14.
묘각(妙覺) 묘각(妙覺) 불과(佛果)를 말한다. 보살 수행의 지위 점차인 52위(位)나 41위의 마지막 지위. 등각위(等覺位)에 있는 보살이 다시 1품의 무명을 끊고 이 지위에 들어간다. 온갖 번뇌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자리 관련글 : 등각 구경위(究竟位) 2013. 2. 1.
최정각(最正覺) 최정각(最正覺) 불과(佛果)를 말한다. 부처님은 바른 지혜로 우주의 진리를 깨달으신 까닭. 제1에 지극한 정성을 최, 잘못을 여읜 것을 정, 깨달은 것을 각이라 하였다. 2012. 10. 9.
과두무인(果頭無人) 과두무인(果頭無人) 천태종의 4교중에서 장ㆍ통ㆍ별의 3교에는 결과로서의 부처의 위를 증하는 사람이 없음을 말한다. 앞의 3교는 방편의 가르침으로써, 불과의 이름은 있으나 원교에서 보면 행과 증을 갖춘 사람은 없다는 뜻. 각각 일정한 행을 닦아 불과(佛果)를 얻는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오직 일불승(一佛僧)으로 끌어들이는 수단에 불과하고 필경에는 성불하는 법문인 원교(圓敎)로 맞아 들인다. 과두(果頭) ; 증(證)의 구경(究竟), 곧 불과(佛果)를 말한다. 2011. 7. 17.
구경위(究竟位) 구경위(究竟位) 무상지극의 위. 불과의 위. 묘각의 불과. 궁극의 청정으로서 더 그것을 뛰어넘은 것은 존재하지 아니한다. 모든 번뇌를 끊어 없애고 진리를 증득하여 최종의 불과(佛果)에 도달한 지위. 청정하고 위없고 지극한 자리 2011. 4. 20.
원융상섭문(圓融相攝門) 원융상섭문(圓融相攝門) 줄여서 원융문(圓融門)이라고도 한다. 화엄교의(華嚴敎義)에서 보살이 수행하여 나아가 불과(佛果)를 얻는 지위에 대하여 항포문(行布門)에서 1위(位)를 얻으면 일체 위를 얻어 단박에 성불한다고 하는 것 관련글 : 원융 2011. 3. 25.
무상도 (無上道) 무상도 (無上道) 위없는 보리(菩提)란 뜻으로 불과(佛果)를 말한다. 부처님이 얻은 보리는 최상(最上)한 것이므로 이같이 이른다 관련글 무상보리(無上菩提) 보리 (菩提) 2011. 1. 2.
보리 (菩提) 보리 (菩提) 범어 「Bodhi」의 음역. 번역하여 도․지․각이라 함. 불교 최고의 지혜. 즉, 부처님이 깨달은 지혜. 불도 ① 불교 구극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즉 불과 ②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 즉 불과에 이르는 길. 관련글 : 아뇩다라삼먁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2010.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