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산문5

철감 도윤(澈鑒道允, 798∼868) 철감 도윤(澈鑒道允, 798∼868) 신라말 사자산문의 개산조이다. 속성은 박씨로서 어머니가 신이한 빛이 방안을 가득 채우는 태몽을 꾸고 태어났다고 한다. 18세에 출가하여 황해도 귀신사에서 《화엄경》을 공부했으나 원돈(圓頓)을 가르치는 화엄이 심인(心印)을 전하는 선(禪)보다 못하다고 생각하여 825년에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곳에서 마조 도일(馬祖道一)의 제자인 남전 보원(南泉普願)을 찾아가니, 남전 보원 스님은 한 눈에 도윤 스님이 법기(法器)임을 알고 그에게 심인을 전한 뒤 ‘중국의 법이 신라로 간다’고 탄식했다 한다. 847년(문성왕 8)에 범일(梵日) 스님과 함께 귀국하여 금강산에 머물면서 후학을 지도했는데, 경문왕도 그 때 그에게 귀의하였다. 그 뒤 다시 쌍봉사로 가서 종풍(宗風)을 떨치.. 2012. 10. 7.
구산선문(九山禪門)의 개창 구산선문(九山禪門)의 개창 통일신라 후기에 접어들자 한국에는 선법이 전래되어 새로운 불교를 태동시켰다. 선은 중국에서 달마이래 종풍이 확립되어 종파로 성립 발전한 것으로 6조 혜능(慧能)에 이르러 남돈선(南頓禪)과 신수(神秀)의 북종선(北宗禪)으로 나누어졌다. 우리나라에는 북종선이 전래되었다는 흔적만 있을 뿐 그 자취를 알 수 없고 오직 남돈선 계통만이 크게 유포되었다. 남돈선을 처음으로 전래한 사람은 784년 입당(入唐)해 마조도일(馬祖道一)의 제자 서당지장(西堂智藏)에게서 심인(心印)을 얻어 귀국한 도의(道義)였다. 그는 귀국 후 선법을 크게 일으키려하였으나 당시 신라에서는 선을 이해하지 못하였으므로 설악산에 은거하면서 제자 염거(廉居)에게 법등을 전했다. 염거는 다시 체징(體澄)에게 법맥을 전했는데.. 2011. 12. 9.
성주산문 성주산문 신라 문성왕때 고승 무염(無染)이 충남 보령 성주사(聖住寺)에서 개창한 산문. 무염은 태종 무열왕의 8대손인 왕족이었다. 무염은 821년 당나라에 가서 마조도일(馬祖道一)의 제자인 마곡보철(麻谷寶徹)에게 법을 배웠다. 그때 중국 사람들은 그를 동방대보살(東方大菩薩)이라고 추앙했다. 845년 귀국하여 왕자 흔(昕)의 요청을 받고 오합사(烏合寺)에 자리를 잡았다. 이 오합사가 후일 성주사(聖住寺)로 바뀐다. 무염은 경문왕과 헌강왕으로부터 국사로 받들어 졌다. ‘무설토론(無舌土論)’을 지어 선풍을 크게 떨쳤다. 무염의 제자로는 심광(深光) 현휘(玄暉) 활행(闊行) 대통(大通) 등이 유명하다. 관련글 : 구산선문(九山禪門) 희양산문 사굴산문 가지산문 수미산문 실상산문 사자산문 2011. 3. 11.
사자산문 사자산문 신라말의 고승 쌍봉선사(雙峰禪師) 도윤(道允)과 그의 제자 절중(折中)에 의해 개창된 산문이다. 도윤은 825년 당나라로 건너가 남전보원(南泉普願)에게서 법을 배웠다. 847년 귀국해서 능주(綾州?화순) 쌍봉사(雙峰寺)에서 크게 선풍을 일으켰다. 도윤의 뒤를 이은 절중(折中)이 영월 사자산(獅子山) 흥녕사(興寧寺)에 자리를 잡고 산문을 열었다. 신라말기 징효(澄曉)때 가장 번창했다. 944년에 건립된 그의 탑비인 영월흥녕사징효대사탑비(寧越興寧寺澄曉大師塔碑)는 보물 제612호로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흥녕사는 891년 화재로 사라진뒤 944년 다시 중건했으나 역시 화재로 회진되었다. 이후 1천년이 넘도록 폐사로 있었다. 이후 1902년 비구니 대원각(大圓覺)이 중건하고 법흥사(法興寺)로 이름을 바.. 2011. 2. 8.
구산선문(九山禪門) 구산선문(九山禪門) 흔히 신라시대에 다섯의 교종 즉 오교(五敎)와 선법(禪法)에 9개 산문의 선맥 즉 구산선문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사료에 의하면 오교가 신라시대에 성립되었다는 기록은 전혀 보이지 않고 구산선문도 신라 때가 아닌 고려시대에 완성됐다. 고려시대에는 화엄종 자은종 남산종 조계종 천태종 시흥종 신인종 총지종 중도종 도문종 등의 많은 종파가 있었다. 이 중 뚜렷한 활동상을 보인 것은 오교가 아나라 사교(四敎)인 조계종 화엄종 자은종 천태종이다. 조계종은 신라 말에 남종선이 전래되어 가지산 실상산 동리산 성주산 사굴산 사자산 봉림산 등 7파가 차례로 산문(山門)을 연 데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다. 이어 고려대에 들어 오면서 진철대사(眞澈大師) 이엄(利嚴)이 수미산문(須彌山門)을 열고, 이어서.. 2011.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