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보6

변지(邊地) 변지(邊地) 아미타불의 정토에 대한 변두리 땅. 염불을 하면서도 아미타불의 본원에 대하여 의혹을 품는 이들이 가서 나는 곳. 여기는 부처님 계신 곳과 멀리 떨어져 있어 3보를 뵙기 어려운 곳, 관련글 : 아미타불(阿彌陀佛) 아미타불 정토 삼보(三寶) 2014. 7. 11.
불신(不信) 불신(不信) 불신(不信)은 진리에 대해 믿지 않는 것을 말한다. 마음이 청정하지 못하여 불ㆍ법ㆍ승 삼보(三寶)를 하찮게 여기고 부처님의 깨달음과 자신이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 것이다. 믿음은 진리를 듣고 사유하고 수행함에 따라 점점 더 확고해 질 수 있다. 2013. 1. 16.
귀의 귀의 불.법.승을 믿고 마음을 맡기어 의지하는 것을 말하며 우리 생명의 근원인 진리의 품에 안긴다는 뜻이다. 보통 귀의불,귀의법,귀의승,귀의 삼보 등으로 쓰인다. 산스크리트어 namo를 옮긴 말로, 이를 음사한 말이 나무(南無)이다. 흔히 하는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는 염불은 바로 '아미타부처님께 귀의합니다'라는 뜻이다. 관련글 : 삼보(三寶) 2011. 11. 11.
스님에 대한 예절 스님에 대한 예절 우리 불교에서는 기본철학 중의 하나가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대한 무한한 경외와 존엄이다. 스님의 나이가 많고 적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속세적인 분별지심도 안된다. 심지어 함부로 스님을 법거량(法擧揚)하면서 저울질해서는 더더욱 안된다. 그저 사바의 속연과 욕망을 모두 버리고 출가하신 것만으로도 스님은 위대한 것이다. 그러나 젊은 스님과 노스님에 대한 예절이 같아선 안된다. 이것은 인간세상과 똑같은 것이다. 만일 똑같이 한다면 젊은 스님이 몹시 당황하게 되고 결국 예절을 갖추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노스님께 대한 예절은 부처님께 하는 공양과 정성 그대로 하면 된다. 노스님방에 들어 갈 때는 세 번 문을 가볍게 두드린다. 그리고 문고리를 잡고 문을 살짝 들어올려 연다. 그.. 2011. 6. 19.
공양(供養) 공양(供養) 공양(Pujana)은 깨끗한 마음으로 꽃, 향, 촛불, 등(燈), 음악 등을 삼보(三寶; 佛, 法, 僧),부모, 스승에게 받들어 올리거나, 우리 이웃의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어떤 물건이나 참다운 진리의 가르침을 베풀어주는 것을 말한다. 공양의 풍속은 원래 인도에서 종교적 성자(聖者)나 스승, 부모에게 가르침을 받고 그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뜻으로 음식이나 옷을 올린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특히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는 것을 불공(佛供)이라고 한다. 공양하는 물건이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몸으로 하는 예배 공경과 입으로 하는 찬탄과 뜻으로 부처님을 생각하고 존중하는 공양, 이 세 가지를 삼업공양(三業供養)이라 하며, 음식, 의복, 탕약, 방사(房舍),등을 사사공양(四事供養)이라고 한다... 2011. 1. 15.
삼보 사찰(三寶寺刹) 삼보 사찰(三寶寺刹) 우리나라에서 세 군데 절이 삼보 사찰이라 불려지고 있다. 이는 불보(佛寶) 통도사, 법보(法寶) 해인사, 승보(僧寶) 송광사(松廣寺)를 말한다. 불보 사찰 불보 사찰이란 양산 통도사를 말하는 것으로 신라의 자장이 646년에 창건하면서 당(唐)에서 가지고 온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함으로써 불보사찰(佛寶寺刹)이 됨. 법보 사찰 법보 사찰이란 부처님의 법(가르침)인 팔만대장경을 봉안한 곳이 해인사라 하여 법보 사찰이라고 한다. 승보 사찰 승보 사찰은 우리나라 절 가운데 훌륭한 스님을 가장 많이 배출한 곳이 송광사라 하여 일컫는 말이다. 송광사에서는 보조국사 이래 16국사가 배출되었다. 그러나 널리 보아 우리나라의 절이 모두 삼보 사찰이 아닌 곳이 없다 하겠다. 어느 절이건 부처님을 모시지.. 2011.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