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승6

삼승교(三乘敎) 삼승교(三乘敎) 성문·연각·보살의 근기마다 그에 대한 교법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수행·증과(證果)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교법. 관련글 : 삼승(三乘) 2015. 6. 15.
통교(通敎) 통교(通敎) 천태종 화법(化法) 4교(敎)의 두번째. 성문 연각 보살의 3승이 함께 받는 법. 얕고 깊은 법을 함께 말한 것임으로 사람의 근성이 영리하고 둔함에 따라서 얕게도 해석하고 깊게도 해석할 수 있는 교. 근기가 둔한 사람이 이 교를 얕게 해석하면 장교(藏敎)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되고 영리한 사람이 이 교를 높게 해석하면 별교(別敎)와 원교(圓敎)에 통해 들어 갈 수 있는 것. 이렇게 근기에 따라 앞으로는 장교에 뒤로는 별교와 원교에 통하는 교이므로 통교라 한다. 이 교의 세계관은 좁으나 그 밝혀놓은 이치는 깊다. 체(體)가 공한것이 그 근본사상. 2013. 11. 3.
공반야(共般若) 공반야(共般若) 성문ㆍ연각ㆍ보살의 3승에 공통으로 설하는 반야의 법문. 대승의 등의 모든 경전의 설을 말함. 불공반야의 반대말. 관련글 삼승(三乘) 연각(緣覺) 성문(Sravaka 聲門) 불공반야(不共般若) 반야(般若) 2011. 8. 5.
공십지 (空十地) 공십지 (空十地) 성문ㆍ연각ㆍ보살의 3승에 공통된 10지. 대품반야경이 소설로서 천태종의 교학에서는 이 것을 통교의 위로 함. 3승의 사람은 (1)아직 진공의 도리의 물을 얻지 못하여 관혜가 말라 있는 건혜지, (2)진공법성의 도리에서 이해한 성지, (3)3계의 견혹을 끊어없애기 위하여 8인지를 일으키는 8인지, (4)진공의 도리를 보고 3계의 견혹을 끊어없애버린 견지, (5) 욕계의 수혹의 1분을 끊어 없애버린 박지, (6)수혹은 끊어없애버린 욕혹을 떠난 이욕지, (7)무색계와 색계의 수혹을 깡그리 끊어없애버린 이판지, (8)관지가 날카로와져서 번뇌의 습기의 일부분도 해치는 벽지불지, (9)일체 종지를 얻으려고 약간의 번뇌의 습기의 찌꺼기를 남기는 보살지, (10)불지. 이 10지 중, 성문승의 사람에.. 2011. 7. 31.
연각(緣覺) 연각(緣覺) 소승의 하나로 독각이라고도 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직접 듣거나 접하지는 못했다고 하더라도 독자적인 방법으로 12인연을 관하여 벽지불과를 증득함으로써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말하는데 대승불교에서는 이 독각을 남을 위해 설법하지 않고 이기적인 수도에 전념하는 자로 격하된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아라한 삼승(三乘) 2011. 4. 10.
진나(陳那 Dinnaga) 진나(陳那 Dinnaga) 남인도사람으로 5~6세기에 활약한 불교논리학의 대성자. 범어로 딘나가. 의역하여 대역룡(大域龍)이라고 한다. 진나(陳那)는 음차한 것이다. 인명론(因明論)을 대성했다. 남인도 브라만가문 출신으로 불교로 개종한 후 출가했다. 이때 독자부(犢子部) 나가닷타의 조언과 충고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세친(世親)의 문인이 되어 삼승(三乘)의 전적을 배웠다. 특히 유식과 논리학에 정통하게 되었다. 새로운 논리학을 정립함으로써 인도논리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진나는 인식의 근거로 현량(現量)과 비량(比量)의 이량(二量)을 인정했다. 따라서 유식설에서 견분(見分) 상분(相分) 자증분(自證分)의 삼분설(三分說)을 주장했다. 저서로는 정리문론(正理門論) 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 관총상.. 2011.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