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주이멸6

유위(有爲) 유위(有爲) 위는 위작(爲作), 조작의 듯. 이것은 인연으로 말미암아 조작되는 모든 현상. 이런 현상에는 반드시 생주이멸(生住異滅)의 형태가 있다. 구사(俱舍)의 75법 중 72법. 유식의 백법(百法)중 94법. 생멸하는 온갖 법의 총칭. ↔ 무위(無爲) 관련글 : 유위(有爲)와 무위(無爲) 유위법(有爲法) 무위법 생주이멸(生住異滅) 2013. 2. 23.
사본상(四本相) 사본상(四本相) 삼라만유를 생멸변화케하는 근본 원리인 생주이별(生住異滅)의 사상(四相). 이것은 만유에 작용하며 또 다른 본상과 거기에 부수하는 수상(隨相)과에 작용을 한다. 예를 들면 생상(生相)은 만유를 나게 하는 동시에 다른 주이멸과 및 그 4수상을 나게 함과 같은 이치. 관련글 : 본상(本相) 생주이멸(生住異滅) 2012. 5. 30.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색, 심, 심소에 포괄되지 않는 유위의 존재 요소. 득(得, 현실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끊임없이 상속하여 갖추어져 있는 번뇌), 비득(非得, 아라한은 번뇌를 여의고 있기에 비록 세속심을 일으키더라도 번뇌의 득이 상속에 구비되어 있지 않다. 번뇌를 끊으면 그 번뇌에 대해서는 비득), 중동분(衆同分, 생물에 차별이 생기게 하는 원리, 개개의 생물에 내재하고 있다. 소에게는 牛同分, 말에게는 馬同分), 무상과(無想果, 무상정에 들어간 사람이 사후에 태어나는 세계), 무상정(無想定, 무념무상의 상태, 마음의 想의상태가 멸해버린 것), 멸진정(滅盡定, 마음의 受의 단계까지 멸해버린 것) 명근(命根,생명의 지속력) 생(生),주(住),이(異),멸(滅, 이 넷은 찰나멸을 성립시키는 힘) 명.. 2012. 4. 21.
본상(本相) 본상(本相) 생주이멸(生住異滅)의 4상(四相) 만유제법을 생멸변화하게 하는 근본원리이므로 본상이라 한다. 관련글 : 생주이멸(生住異滅) 사본상(四本相) 2011. 6. 12.
찰나 찰나 찰나같이 짧은 시간. 찰나는 아주 짧은 시간을 비유할 때 종종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은 범어의 쿠사나(ksana)를 음역한 것으로 아주 짧은 시간이란 뜻에서 나온 말이다. 정확히 따진다면 75분의 1초라고 한다. 찰나같은 인생을 영원한 인생으로 바꾸는게 불교다. 흔히 우리가 순간의 쾌락과 안일에 빠져 사는 것을 찰나주의(刹那主義)라 부른다. 또는 찰나의 사이에 생주이멸(生住異滅)의 사상(四相)이 변하는 것을 찰나무상(刹那無常)이라고 한다. 한편 찰나찰나에 생(生)하고 멸(滅)하는 것을 찰나생멸(刹那生滅)이라고 부른다. 사실 그렇게 본다면 영겁과 찰나가 하나일 수밖에 없다. 영겁속에 찰나가 있고 찰나속에 영겁이 있는 것이다. 찰나찰나를 영겁처럼 살아야 한다. 관련글 생멸(生滅) 2011. 2. 1.
사상 (四相) 사상 (四相) ① 사람이 겪는 네 가지 相. 즉 생로병사 (生․老․病․死 ) ② 만물이 변화하는 네 가지 相. 즉 생주이멸(生․住․異․滅) ③ 중생이 실재라고 믿는 네 가지 相. 즉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我․人․衆生․壽者相). 이 네 가지 相은 허무하고 거짓된 것으로 이에 미혹(迷惑)되면 중생, 깨치면 부처임 관련글 : 생주이멸(生住異滅) 2010.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