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산대사6

청허휴정(淸虛休靜,1520-1604) 청허휴정(淸虛休靜,1520-1604) 휴정은 법명, 성은 崔씨 완산사람.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서산(西山). 9,10세에 양친을 잃고 과거에 낙방하여 지리산에 들어가 경전을 공부하고는 숭인(崇仁)에게 출가하다. 21세에 영관(靈觀)에게 인가를 받고 만행하다가, 1589년 정여립의 옥사에 무업(無業)의 무고(誣告)로 체포되었으나 선조(宣祖)가 오히려 상을 내리다. 1592년 의주(義州)에서 선조(宣祖)의 명으로 도총섭(都總攝)이 되어 의승(義僧) 5천을 인솔하여 왜란(倭亂)에 대처하다. 후에 금강산‧묘향산‧두륜산에서 가풍을 선양하다.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 제자들을 모아놓고 설법 뒤에 입적하다. 저서: 선가귀감(禪家龜鑑) 삼가귀감(三家龜鑑) 청허당집(淸虛堂集 8권) 선교석(禪敎釋) 선교결.. 2013. 1. 30.
뇌묵 처영 뇌묵 처영 대사 1592년에 일어난 임진왜란은 7년 간에 걸쳐 조선의 국토를 황폐화시켰다. 개국 이래 문관(文官)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정은 상대적으로 국방의 약화를 초래하였고, 마침내 일본의 침략에 무방비로 많은 인명이 살상되고, 수없이 많은 문화유산이 약탈 파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한민족의 강인한 저항의식은 곳곳에서 의병의 봉기로 이어졌는데, 여기에는 출가자인 스님도 예외가 아니었다. 서산(西山) 대사와 사명(四溟大師) 대사 등은 바람 앞의 등불처럼 위태롭던 조선의 국운을 되돌려 놓은 위대한 분이었다. 왜군이 거침없이 한양까지 밀려오자 선조는 의주로 몸을 피하고, 이때 서산 대사는 전국의 승려에게 총궐기할 것을 호소하는 격문을 보냈다. 전라도에서는 금산사를 중심으로 1,000여 명의 승병이 집결하였고.. 2012. 9. 14.
서산휴정(西山休靜,1520-1604) 서산휴정(西山休靜,1520-1604) 휴정은 법명, 성은 崔씨 완산사람. 자는 현응(玄應) 호는 청허(淸虛), 서산(西山). 9,10세에 양친을 잃고 과거에 낙방하여 지리산에 들어가 경전을 공부하고는 숭인(崇仁)에게 출가하다. 21세에 영관(靈觀)에게 인가를 받고 만행(萬行)하다가, 1589년 정여립의 옥사에 무업(無業)의 무고(誣告)로 체포되었으나 선조(宣祖)가 오히려 상을 내리다. 1592년 의주에서 선조의 명으로 도총섭(都總攝)이 되어 의승(義僧) 5천명을 인솔하여 왜란(倭亂)에 대처하다. 후에 금강산‧묘향산‧두륜산에서 가풍을 선양하다. 묘향산 원적암(圓寂庵)에 제자들을 모아놓고 설법 뒤에 입적하다. 저서로는 선가귀감(禪家龜鑑) 삼가귀감(三家龜鑑) 청허당집(淸虛堂集 8권 선교석(禪敎釋) 선교결禪敎訣.. 2012. 2. 24.
선가귀감 선가귀감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이 경전과 어록 가운에 가장 중요한 부분을 가려뽑아 지은 책이다. 1564년(명종 9)에 서문을 쓰고 1569년(선조 2)에 보현사에서 처음 간행했다. 당시의 승려들이 유생들의 글귀만을 중요하게 여기므로 이를 바로잡고, 또 대장경이 너무 방대해 그 중에서 가장 요긴한 것을 골라 후학들의 지침서로 삼기 위해서였다. 본래는 단권으로 돼 있지만 내용의 성격상 원리론, 불조론, 선교관, 방법론, 신해론, 수증론, 지도자론, 결론 등 8장으로 나눌 수 있다. 관련글 : 서산휴정(西山休靜,1520-1604) 2012. 1. 19.
백화도인(白樺道人) 백화도인(白樺道人) 서산대사가 금강산에 있는 백화암(白樺庵)에 오래 있었던 관계로 스스로 부르던 호 서산대사는 선가귀감 서문을 청허당 백화도인이라고 썼다. 관련글 : 선가귀감 서산휴정(西山休靜,1520-1604) 2011. 7. 17.
청허당집(淸虛堂集) 《淸虛堂集》은 휴정休靜(1520∼1604)의 문집이다. 휴정은 호가 청허(淸虛), 자가 현은(玄應)이며, 주로 묘향산(妙香山)에 머물렀으므로 서산대사(西山大師)라 하기도 한다. 부용영관(芙蓉靈觀)의 법을 받았다. 《청허당집》은 최초에는 1612년 상좌(上佐) 종봉(鍾峰)에 의해 편집·간행되었으며, 후대에 여러 곳에서 여러 번에 걸쳐 재간행되었다. 현전하는 판본은 初刊本·妙香寺本·龍腹寺本·泰安寺本 등 모두 4종이 있다. 각 판본의 성격에 관해서는 김형중의〈西山大師의 詩文學考〉(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6, pp.14∼17)에서 자세히 소개하였다. 체재가 비교적 정연한 묘향사본(4권2책)의 경우, 詩와 文 그리고 불교이론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卷首에는 宣祖의〈墨竹詩〉와 正祖 御製의〈西山大師畵像.. 2011.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