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식6

전식(轉識) 전식(轉識) 1. 8식에서 제8아뢰야식을 제외한 안이비설신의 말나(末那)의 7식. 제8식으로부터 전생(轉生) 변현(變現)하는 식이므로 전식이라 한다. 2. 제8아뢰야식의 다른 이름. 이 식이 안식등의 여러 식을 전생(轉生)하는 것이므로 전식. 3. 5식의 하나. 거울에 형상을 비치는 작용이 있는 것과 같이 무명으로 생긴 업식(業識)은 다시 전(轉)하여 능견(能見) 초동(初動)하는 상(相)을 이루고 여러가지 경계에 대하여 반연하려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전식. 4. 전식득지(轉識得智) 관련글 : 업식(業識) 말나식 (末那識) 아뢰야식 (阿賴耶識) 2013. 12. 4.
업고 업고 자신이 저지른 나쁜 생각과 행위들로 인해 되돌려 받는 괴로움과 고통. 관련글 : 업식(業識) 업 (業) 2012. 7. 1.
무명 무명(無明) 번뇌에 가려 지혜가 없는 것. 사제(四제)에 대한 무지로서, 모든 괴로움을 일으키는 근본 번뇌. 모든 현상의 본성을 깨닫지 못하는 근본 번뇌. 본디 청정한 마음의 본성을 가리고 있는 원초적 번뇌. 있는 그대로의 평등한 참모습을 직관하지 못하고 차별을 일으키는 번뇌.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지 못하는 불여실지견을 말한다. 즉 진리에 눈뜨지 못하고 사물에 통달하지 못해서 사물과 현상의 도리를 확실하 게 이해할 수 없는 정신상태를 말하며 어리석음을 내용으로 한다. 사견(邪見) · 망집(妄執)으로 모든 법의 진리에 어두운 마음을 이름. 즉 우치(愚痴)의 다른 이름. 에는 무명(無明)을 두 가지로 나누어 법계(法界)의 참 이치에 어둡게 된 맨 처음 한 생각을 근본무명(根本無明)이라 하고, 이 .. 2011. 10. 26.
업경대(業鏡臺) 업경대(業鏡臺) ‘전생을 비추는 거울’ 불구의 하나로 업경륜(業鏡輪) 혹은 업경(業鏡)이라고 한다. 업을 나타내는 거울이라는 뜻으로 명도(冥途)에서 죄인의 업을 비쳐 나타낸다고 하는 거울이다. 《사분율행사초자지기(四分律行事 資持記)》권하에는 “1년에 3회 정월과 5월, 9월에 명계(冥界)의 업경륜이 남섬부주를 비치는데, 만약 선악업이 있으면 거울에 모두 나타난다.”고 하였고 또 《지장보살발심인연시왕경(地藏菩薩發心因緣十王經)》에는 “사방팔방에 업경을 달아두어 전생에 지은 선과 복, 그리고 악과 죄업을 나타낸다. 모든 악업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현세에서 목전에 보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 같은 경전의 설에 따라 지장전 안에는 시왕(十王)을 봉안하고 업경대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또 지장전 뿐만 아니.. 2011. 2. 12.
무명업식(無明業識) 무명업식(無明業識) 무명과 업에 뿌리를 둔 인식. 무명으로 어리석은 행을 하고 이 어리석은 행은 잠재적 형성력을 갖고 인식하게 된다. 무명의 인식이요 윤회로 가는 잘못된 업의 인식. 자기 확대 내지는 자기 중심적 인식. 관련글 : 무명 업식(業識) 업식종자 (業識種子) 2011. 1. 27.
업식종자 (業識種子) 업식종자 (業識種子) 제팔아뢰야를 말함. 업식(業識)은 진여(眞如)의 일심(一心)이 무명(無明)의 힘에 의하여 처음으로 기동되는 것. 종자(種子)는 아뢰연기설(賴耶緣起說)의 견지에서 만유(萬有)의 물심현상(物心現象)은 아뢰야식(阿賴耶識)에서 발생하고 전개된다 하며 이것을 내는 마음의 세력이 아뢰야식(阿賴耶識)에 갈무려 있다하여 이것을 종자(種子)라 한다. 관련글 무명 진여(眞如) 아뢰야식 (阿賴耶識) 식(識) 말나식 (末那識) 2010.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