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래장5

중생심(衆生心) 중생심(衆生心) 1. 에서는 중생의 마음. 곧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진여심(眞如心)을 말한다. 이것은 보변평등(普遍平等)한 실체(實體)로서 일체 만유를 섭수하고 전 우주를 포용하는 근본진리. 제법(諸法)에 있어서는 법성(法性), 진여(眞如)라 하고 중생에 있어서는 불성(佛性), 여래장(如來藏),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이라 한다. 2. 천태종에서는 우리가 일상에 일으키는 미망(迷妄)한 마음을 말하니 이 마음에 법계 3천의 제법이 갖추어져 있다 한다. 3. 유식종에서는 아뢰야식을 말한다. 관련글 : 법성 여래장(如來藏) 진여(眞如) 2014. 6. 11.
보성(寶性) 보성(寶性) 여래장의 다른 이름. 여래장은 마치 황금이 더러운 티끌속에 묻혀 있으면서도 그 자성이 변치 않는 것처럼 중생이 번뇌 가운데 있으면서도 진여(眞如)의 맑고 깨끗한 자성을 잃지 않는 데 비유 관련글 : 여래장(如來藏) 2011. 10. 1.
공여래장 공여래장 여래장이란 진여의 딴이름. 진여는 공적으로서 일체의 더러움을 머물게 하지 아니하므로 공이라고 한다. 부처님이 깨달은 영원상주의 진리. 번뇌와 관계가 없으므로 공이라고 부르며, 여래의 무량 공덕을 간직하기 때문에 여래장이라고 한다. 관련글 : 여래장(如來藏) 진여(眞如) 2011. 8. 6.
불성(佛性) 불성(佛性) 범어 buddhadhatu. 일체 중생에게 갖추어 있는 부처 될 성품. 불(佛)은 각오(覺悟), 성(性)은 불개(不改)의 뜻으로 인과(因果)를 통하여 변개(變改)하지 않는 자체(自體)를 불성(佛性)이라 이른다. 불타(佛陀)의 본래의 성질 즉 불타의 각성(覺性), 또는 일체중생이 부처가 될 가능성. 여래성(如來性)이라고도 하며 여래장(如來藏)․각성으로도 번역된다. 초기 불교에서 불보살 이외의 자가 성불(成佛)할 수 있다는 설은 없었으나, 뒤에 이르러 일반 중생도 후천적으로 수행에 의하여 불성이 얻어진다고 하였고, 다시 일체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으나 미망(迷妄)에 가려 나타나지 않을 뿐 그것을 떨쳐버리면 불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열반경(涅槃經)》의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 모든.. 2011. 7. 29.
승만경 (勝鬘經) 승만경 (勝鬘經) 유마경과 더불어 불교의 재가주의(在家主義)를 대표하는 경전. 특히 승만경은 여성불교 신행의 지침서로 알려져 있다. 원명은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勝鬘獅子吼一乘大方便方廣經)’이다. 풀어 보면 승만부인이 일승의 대방편을 널리 알리기 위해 사자후한 것을 수록한 경전이라는 의미다. 다시 말하면 이 경전의 주인공은 부처님도 아니고 출가자도 아닌 승만부인이라는 한 여성이다. 불이법문(不二法門)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유마거사가 설법한 과 함께 재가중심의 대승불교를 천명하는 대표적인 경전이다. 능가경과 함께 여래장사상(如來藏思想)을 밝히고 있다. (관련글 : 여래장(如來藏)) 널리 유통되고 있는 한역본은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의 번역이다. 승만부인은 사위국(舍衛國) 파사닉왕(波斯匿王)의 딸로 태어났.. 2011.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