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각13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堤下化衆生) 상구보리하화중생(上求菩堤下化衆生) 보살의 마음. 위로는 보리를 구하는 동시에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것. 성문 ․ 연각이 자기만 깨달으려는 것과 다름을 말함. 2015. 10. 16.
사생백겁(四生百劫) 사생백겁(四生百劫) 연각의 수행에 필요한 시간. 2가지 종류가 있다. 1. 매우 빠른 이는 4생(生)을 지내야 하니 제1생에 성문의 자량행(資糧行)을 닦고 제2생에 성문의 가행(加行)을 닦고, 제3생에 연각의 자량과 가행을 닦고 제4생에 깨달음. 2. 가장 느린 이는 100겁을 요하니, 제1의 20겁에 성문의 자량을 닦고 제2의 20겁에 연각의 자량을 닦고 제3의 20겁에 연각의 자량을 닦고 제4의 20겁에 연각의 가행을 닦아서 제5의 20겁 수행을 마치고 최후에 깨닫는 것.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연각(緣覺) 겁(劫 Kalpa) 2015. 7. 17.
삼승교(三乘敎) 삼승교(三乘敎) 성문·연각·보살의 근기마다 그에 대한 교법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수행·증과(證果)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교법. 관련글 : 삼승(三乘) 2015. 6. 15.
의안락행(意安樂行) 의안락행(意安樂行) 4안락행의 하나. 마음에 질투(嫉妬), 첨광(諂誑 아첨하고 속이는 것)의 생각을 가지지 않고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을 지원(志願)하는 이를 꾸짖지 않고 희롱하거나 다투지 않고 마음이 안락하여 수양하는 것. 2014. 4. 13.
무성(無性) 무성(無性) 불성(佛性)이 없는 것. 보살, 성문 연각이 될 성품이 없는 것. 무루(無漏)의 종자가 없는 것. ↔ 유성(有性) 관련글 : 불성(佛性) 무루(無漏) 무루종자(無漏種子) 2014. 1. 13.
불공반야(不共般若) 불공반야(不共般若) 보살만을 위하여 말한 것이고 성문·연각에는 공통하지 않은 반야의 법문. 곧 에서 말한 것들. 은 부처님 지혜를 끝까지 다하여 말한 것이어서 2승들은 알지 못하는 것이므로 불공(不共)이라 한다. ↔ 공반야(共般若) 관련글 : 공반야(共般若) 반야(般若) 실상반야(實相般若) 화엄경 (華嚴經) 성문(Sravaka 聲門) 연각(緣覺) 2013. 3. 10.
우법소승(愚法小乘) 우법소승(愚法小乘) 성문연각으로 자기네의 법만 고집하고 대승의 심묘(深妙)한 이치를 모르는 것. 우법이승(愚法二乘) 만유(萬有)는 모두 실체가 없고 자성이 없는 것이라는 공(空)한 이치에 어두운 성문, 연각 2012. 11. 17.
패근(敗根) 패근(敗根) 패종(敗種)이라고도 한다. 성문, 연각의 2승(承)을 말함. 성불할 뿌리가 썩어서 불과(佛果)를 증득할 종자가 없음으로 이것을 초목의 썩은 뿌리와 종자에 비유하여 이렇게 말함.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연각(緣覺) 2012. 8. 17.
공반야(共般若) 공반야(共般若) 성문ㆍ연각ㆍ보살의 3승에 공통으로 설하는 반야의 법문. 대승의 등의 모든 경전의 설을 말함. 불공반야의 반대말. 관련글 삼승(三乘) 연각(緣覺) 성문(Sravaka 聲門) 불공반야(不共般若) 반야(般若) 2011. 8. 5.
공십지 (空十地) 공십지 (空十地) 성문ㆍ연각ㆍ보살의 3승에 공통된 10지. 대품반야경이 소설로서 천태종의 교학에서는 이 것을 통교의 위로 함. 3승의 사람은 (1)아직 진공의 도리의 물을 얻지 못하여 관혜가 말라 있는 건혜지, (2)진공법성의 도리에서 이해한 성지, (3)3계의 견혹을 끊어없애기 위하여 8인지를 일으키는 8인지, (4)진공의 도리를 보고 3계의 견혹을 끊어없애버린 견지, (5) 욕계의 수혹의 1분을 끊어 없애버린 박지, (6)수혹은 끊어없애버린 욕혹을 떠난 이욕지, (7)무색계와 색계의 수혹을 깡그리 끊어없애버린 이판지, (8)관지가 날카로와져서 번뇌의 습기의 일부분도 해치는 벽지불지, (9)일체 종지를 얻으려고 약간의 번뇌의 습기의 찌꺼기를 남기는 보살지, (10)불지. 이 10지 중, 성문승의 사람에.. 2011.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