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열반경9

방등부(方等部) 방등부(方等部) 대승 경전가운데 , , , 등 4부(部)의 여러경을 제한 다은 모든 경전을 일컫는다. 관련글 : 화엄경 (華嚴經) 반야경(般若經) 법화경 열반경 (涅槃經) 2015. 5. 9.
상주교(常住敎) 상주교(常住敎) 에 말한 교. 온갖 중생에게 보편적으로 불성의 상주함을 인정하며 어떤 것이든지 기연(機緣)이 익숙해지면 반드시 성불한다고 하였음으로 상주교라 한다. 관련글 : 오교(五敎) 열반경 (涅槃經) 2014. 3. 20.
점교(漸敎) 점교(漸敎) ① 화엄종에서 5교(五敎) 가운데 시교(始敎)와 종교(終敎)를 말한다. 이것은 문자로 이치를 나타내고 수행하는 계급을 세워 점차로 증과함을 말한 법문이므로 점교라 한다. ② 화의(化儀) 4교(敎)의 하나. 천태종의 말. 소승에서 대승으로 정칙적(正則的)인 점차의 순서를 밟아 설한 교. 곧 아함(阿含), 방등(方等), 반야(般若)의 순서로부터 법화(法華), 열반(涅槃)에 이르는 설법. ③ 남중(南中)3교의 하나. 녹야원에서 을 설함으로부터 쌍림에서 을 설할 때까지 소승에서 점차로 대승에 이르는 것. ④ 광통(光統) 3교의 하나. 근기가 미숙한 사람을 위하여 먼저 무상(無常)을 말하고, 뒤에 상(常)을 말하며 또는 먼저 공(空)을 말하고 뒤에 불공(不空)을 말하는 등 이렇게 많은 법문을 점차로 .. 2013. 4. 4.
불성(佛性) 불성(佛性) 범어 buddhadhatu. 일체 중생에게 갖추어 있는 부처 될 성품. 불(佛)은 각오(覺悟), 성(性)은 불개(不改)의 뜻으로 인과(因果)를 통하여 변개(變改)하지 않는 자체(自體)를 불성(佛性)이라 이른다. 불타(佛陀)의 본래의 성질 즉 불타의 각성(覺性), 또는 일체중생이 부처가 될 가능성. 여래성(如來性)이라고도 하며 여래장(如來藏)․각성으로도 번역된다. 초기 불교에서 불보살 이외의 자가 성불(成佛)할 수 있다는 설은 없었으나, 뒤에 이르러 일반 중생도 후천적으로 수행에 의하여 불성이 얻어진다고 하였고, 다시 일체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으나 미망(迷妄)에 가려 나타나지 않을 뿐 그것을 떨쳐버리면 불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열반경(涅槃經)》의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 모든.. 2011. 7. 29.
열반종(涅槃宗) 열반종(涅槃宗) 중국의 불교학파로서 독립된 종파를 이루지는 못했다. 그래서 열반학파로 부르기도 한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을 근본경전으로 하고 있다. 중국 불교 13종의 하나로 손꼽힌다. 최대 번영기는 남북조시대에서 당나라초기까지다. 구마라집 문하의 도생(道生)이 깨달음이 없는 사람도 성불할 수 있다는 ‘천제성불론(闡提成佛論)’을 주장했다. 근거 경전은 법현(法顯)이 번역한 이른바 북본(北本) 열반경인 ‘불설대반열반경(佛說大般涅般經)’이다. 그후 430년에 담무참(曇無讖)이 북본(北本) 열반경을 동진(東晋)의 서울 건강(建康 남경)에 전한 후 열반경의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436년 혜관(慧觀) 혜엄(慧嚴) 사영운(謝靈運) 등이 북본 열반경을 모태로 삼아 남본(南本) 열반경을 완성했다. 바로 후세 .. 2011. 4. 19.
방등경 방등경 대승경전을 총칭하는 말이다. 대승경을 말하는 것은 횡(橫)으로 시방(十方)에 두루 방광보편[方廣普遍:대승경에서 말한 이치는 방정(方正)한 것이므로 방{方:동서남북 사유상하(四維上下)등의 방소(方所)]이라 하며, 뜻이 원만히 구비되고 언사(言事)가 풍족하므로 광(廣)이라 한다]의 실(實)다운 이치이며, 범부나 성인들을 포함한 평등한 교(敎)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방등 대승부 : 화엄경, 반야경, 법화경, 열반경 등이다] 2011. 3. 25.
선서 선서 여래십호 중의 하나로 호거(好去), 묘왕(妙往)이라고도 번역하며 부처님은 좋게, 잘 가신 분이라는 의미이다. 생사의 세계에서 열반의 세계로, 원인의 경지에서 결과의 경지에 이르러서, 다시는 삶과 죽음의 윤회에 빠지지 않는다는 뜻. 다시 말하면 생사를 여의고 대지혜에 안주한다는 뜻이다. * 영원하신 부처님 강물은 모두 바다로 흘러들어 간다. 이와 같이 사람이나 신이나 땅이나 하늘에 있는 모든 생명의 강물은 모두 여래의 생명의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그런 까닭에 여래의 생명은 한량이 없느니라 -열반경- 2011. 3. 12.
오교(五敎) 오교(五敎) 석가의 일대(一代) 교설을 5종으로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 이는 시대에 따른, 또 사람에 따른 여러 분류 방법이 있다. ① 당(唐)나라 정관(貞觀)연간에 중국에 온 파파밀다라가 설한 사제교(四諦敎:阿含經)․무상교(無相敎:般若經)․관행교(觀行敎:華嚴經)․안락교(安樂敎:涅槃經)․수호교(守護敎:大集經)의 5교, ② 당나라의 법장(法藏)이 설한 소승교(小乘敎:阿含經)․대승시교(大乘始敎:解深密經)․종교(終敎:楞伽經․勝經)․돈교(頓敎:維摩經)․원교(圓敎:華嚴經)의 5교, ③ 유송(劉宋) 원가(元嘉)연간에 도량사(道場寺)의 혜관(慧觀)이 설한 유상교(有相敎:阿含經)․무상교(無相敎:般若經)․억양교(抑揚敎:維摩經)․동귀교(同歸敎:法華經)․상주교(常住敎:涅槃經)의 5교, ④ 제(齊)나라 호신사(護身寺)의 자궤.. 2010. 9. 22.
맹귀우목 (盲龜遇木) 맹귀우목 (盲龜遇木) 맹구우목 열반경에 있는 말인데, 중생이 사람의 몸을 받아 세상에 나기가 어렵고 불법을 만나기가 아주 어렵다는것을 비유한 말이다. 목숨이 긴 눈먼 거북이가 바닷 가운데 있으면서 1백 년에 한번씩 물위로 떠오르는데 이때 구멍이 뚫린 나무가 표류하다가 거북이 머리 위에 정확히 구멍이 맞음으로써 숨을 쉬게 된다는 것. 사람이 사람의 몸을 받고 불법을 만나기가 이렇게 어렵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부목맹구 (浮木盲龜) 와 같은 말. 2010.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