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루9

유루신(有漏身) 유루신(有漏身)육체를 말한다.이것이 나와 남의 번뇌를 늘게 하는 근본 체. 2019. 3. 14.
유쟁(有諍) 유쟁(有諍) 유루(有漏)의 다른 이름. 쟁(諍)은 번뇌. 유루계(有漏界)의 모든 현상은 번뇌를 늘게 하는 것이므로 유쟁. 관련글 : 유루(有漏) 2015. 10. 20.
오취온(五取蘊) 오취온(五取蘊) =오온(五蘊) 5온은 유루(有漏) 무루(無漏)에 통하고 5취온은 유루뿐. 취는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온(蘊)을 낳고 온은 또 번뇌를 낳음으로 온을 취온이라 한다. 관련글 : 오온(五蘊) 번뇌(煩惱) 유루(有漏) 유루무루(有漏無漏) 무루(無漏) 2013. 9. 8.
취온(取蘊) 취온(取蘊) 유루의 다른 이름. 취는 번뇌를 말한다. 삼계의 고과(苦果)에 집착하여 후세의 과보를 이끌어 오는 업을 집지장양(執持長養)한다는 뜻. 온은 취(取)의 뜻. 3세에 걸쳐 안과 밖, 먼 것과 가까운 것, 낫고 못한 차별있는 것을 하나로 모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 에 유루가 취온임을 설명하다. 1. 유루의 온은 취(번뇌)로부터 생김. 2. 유루 5온의 몸은 번뇌에 딸려 사역(使役)됨. 3. 유루의 온으로부터 취가 생긴다는 세 뜻을 들었다. 관련글 : 유루(有漏) 유루무루(有漏無漏) 오온(五蘊) 구사론(俱舍論) 2013. 3. 21.
유루지(有漏智) 유루지(有漏智) 이 지혜는 유위(有爲)·무위(無爲)의 모든 법을 대상으로 하거니와 흔히는 세속의 사물에 작용하는 지혜이므로 세속지라고 한다. 아무리 수련하여도 번뇌를 끊지 못하는 지혜. 여기에 생득혜(生得慧)· 문혜(聞慧)·사혜(思慧)·수혜(修慧)의 구별이 있다. ↔ 무루지(無漏智) 관련글 ; 유루(有漏) 유루정토(有漏淨土) 유루무루(有漏無漏) 무루(無漏) 2013. 1. 10.
유루정토(有漏淨土) 유루정토(有漏淨土) 유루심으로 변하여 된 정토 유식가(唯識家)에서는 부처님의 정토는 번뇌가 없는 청정성으로 변하여 된 것이고 범부의 정토는 유루심으로 변작하여 된 정토에 왕생한다 함 관련글 : 유루무루(有漏無漏) 정토 2012. 11. 11.
무루(無漏) 무루(無漏) 누(漏)는 객관대상에 대하여 끊임없이 육근에서 허물을 누출(漏出)한다는 뜻으로 번뇌의 다른 이름. 소승에서는 번뇌를 증상(增上)하지 않음을 말하고 대승에서는 번뇌와 함께 있지 아니함을 말한다. ↔ 유루(有漏) 관련글 : 유루무루(有漏無漏) 2012. 10. 15.
삼유 (三有) 삼유 (三有) ① 삼계(三界)와 같음. 유(有)는 존재한다는 뜻으로 선악의 업인(業因)에 따라 받게 되는 욕유(欲有)․색유(色有)․무색유(無色有)를 이름. ② 생유(生有)․본유(本有)․사유(死有)를 이름. ③ 유루(有漏)의 다른 이름. 관련글 삼계(三界 유루무루(有漏無漏) 2010. 9. 20.
유루무루(有漏無漏) 유루무루(有漏無漏) 불교 용어. 산스크리트로 유루는 사스라바(sasrava), 무루는 아나스라바(anasrava)이다. 루(asrava)는 더러움․번뇌라는 뜻이며, 따라서 본래 유루란 번뇌에 오염된 것, 무루는 번뇌에 오염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사스라바(유루)라는 말은 원시불교성전(原始佛敎聖典)에는 드물게 나타나고, 소승불교(小乘佛敎)가 되고 나서 일반화되었다.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小乘部派의 하나)는 이것들을 이용해 일체법을 분류하고 유루․무루의 규정을 여러 가지로 발전시켰지만, 결국 4~5세기에 세친(世親)의《구사론(俱舍論)》에서 라는 규정으로 정립되었다. 이에 따르면 외계는 모두 유루법이고, 인간에 관해서도 범부(凡夫)의 마음과 몸은 모두 유루법이다. 또 부처같은 성자의 신체도 유루법이고(왜냐하면.. 2010.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