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회10

삼종참법(三鐘懺法) 삼종참법(三鐘懺法) 죄악을 참회하는 세가지 방법. 1. 작법참(作法懺) 규정된 작법에 다라 부처님 앞에 참회 함. 2. 취상참(取相懺) 정(定)에 들어 참회의 생각을 하면서 불보살이 와서 정수리를 만져줌과 같은 서상(瑞相) 얻기를 바라는 것. 그리하여 성죄(性罪), 차죄(遮罪)등을 멸한다. 3. 무생참(無生懺) 마음을 바로하고 단정히 앉아 무생 무별의 실상을 관하고 무명 번뇌를 끊는 것. 2015. 9. 26.
능지방편(能止方便) 능지방편(能止方便) 4종 방편(方便)의 하나. 자신의 허물을 부끄럽게 여기어 참회하려는 생각을 냄으로써 모든 나쁜 짓을 그치고 더 자라나지 못하게 함. 관련글 : 방편(方便) 2015. 6. 13.
발로(發露) 발로(發露) 발은 열어 놓는 것. 로는 드러내는 것이니 자기가 범한 죄와 허물을 조금도 숨기지 않고 여러사람에게 고백하여 참회하는 것. 2015. 5. 17.
사종관행(四種觀行) 사종관행(四種觀行) 참회하여 죄를 소멸하려는 준비로 닦는 4가지 관행. 1. 인연을 관함. 자기가 무명(無明)번뇌에 미(迷)하여 생사하는 세계에 유전하는 인연을 관하는 것. 2. 과보를 관함. 과거 업인(業因)의 과보인 육체의 부정(不淨)을 관하는 것. 3. 자신을 관함. 나에게 불성이 있지만 무명 번뇌에 덮였으니 이제 수승한 마음을 일으켜 이것을 없애고 불성을 개현(開顯) 하여 불이 되려고 관하는 것. 4. 여래선을 관함. 여래의 진성(眞性)과 중생을 섭호(攝護)하는 대용을 관하는 것. 관련글 : 관행(觀行) 여래선(如來禪) 2014. 7. 16.
이참사참(理懺事懺) 이참사참(理懺事懺) 이참(理懺)은 실상(實相)의 이치를 관(觀)하여 죄를 멸하게 하는 참회(懺悔)로서 관찰실상참회(觀察實相懺悔)라 하고, 사참(事懺)은 예불(禮佛), 송경(誦經) 등 신구의(身口意=몸과 입과 뜻)의 행위로서 참회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를 수분별참회(隨分別懺悔)라고도 한다. 그러나 참회라고 할 때는 보통 사참(事懺)을 말한다. 관련글 : 예참 참회(懺悔) 2012. 3. 13.
예참 예참 부처나 보살에게 예배하고 죄를 참회함. 관련글 : 참회(懺悔) 포살 (布薩) 자자(自恣)와 포살(布薩) 2012. 2. 23.
승가바시사 (僧伽波尸沙) 승가바시사 (僧伽波尸沙) 승잔(僧殘)과 같은 말. 바라이죄 다음가는 무거운 죄. 바라이는 단두(斷頭)한 것 같아서 다시 승단(僧團)중에 들어오지 못하지만 승잔은 범하여도 승려로서의 생명이 남아 있어 여러 스님들에게 참회하여 허락하면 구출될 수 있는 계법. 여기에는 비구가 지닐 13승잔과 비구니가 지질 17종·19종·20종 등의 구별이 있다. 13승잔 1. 일부러(故意) 정수(靜水 - 정액)를 내지 말라 (漏失戒) 2. 여자의 살을 만지지 말라 (摩觸戒) 3. 여자와 추악한 말을 하지 말라 (麤語戒) 4. 여자에게 자신의 몸을 칭찬하면서 공양을 요구 하지 말라 (歎身戒) 5. 중매하지 말라 (媒人戒) 6. 시주 없이 집을 짓되 처분을 받지 않고 지나치게 짓지 말라 (無主房戒) 7. 지주가 있어 집을 짓되 .. 2011. 10. 8.
고작 고작 고의로 중학법(계율의 한가지)을 깨뜨리는 것. 응참돌길라를 범한다고 한다. 이것은 범한 자는 참회를 해야 한다. 2011. 6. 17.
무참(無斬) 무참(無斬) 끔찍하고 참혹함을 무참하다고 표현하고, 무참한 죽음이니 무참한 최후니 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참자를 으로 흔히 쓰는데, 본래는 으로 썼었다. 은 자와 같은 글자이다. 다만 심방변(心)의 위치가 다를 뿐이며 부끄러워할 참, 부끄러울 참자이다. 따라서 무참은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의 불교말이다. 즉 죄를 저지르고도 스스로 마음에 수치를 느끼지 않는다는 뜻이다. 구사론(俱舍論)에 ‘지은 죄에 대해 스스로 관(觀)하고 수치를 모르는 것, 이를 이름하여 무참이라 한다’고 했다. 이 말은 범어를 의역한 한자어로서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에서 부끄러움을 모를 만큼 방만(放慢)함을 가리키게 되었고, 그런 방만을 비난하는 기분이 대상에 대한 동정심으로 변해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는 .. 2011. 2. 12.
작법 작법 ⑴수계(受戒)나 참회(懺悔) 등을 행하는 의식, 또는 그 의식에서 지켜야 할 예법. ⑵나비춤․ 바라춤과 같이, 동작으로 불법을 상징하거나 부처를 찬탄하는 의례. ⑶주장 명제나 판단의 정당성이나 확실성을 이유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증명하는 논법․논식. 관련글 : 참회(懺悔) 신중작법 영산재(靈山齋) 2011.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