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팔정도6

정사유(正思惟) 정사유(正思惟) 팔정도의 하나. 무루의 지혜로 4체(諦)의 이치를 추구 고찰(追求考察)하고 관(觀)이 더욱 지취하게 함을 말한다. 관련글 : 팔정도 (八正道) 2013. 2. 27.
산란(散亂) 산란(散亂) 산란(散亂)은 대상에 따라 마음이 흔들리는 것을 말한다. 심란(心亂)이라고도 한다.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하여 어지럽기 때문에 깊은 정신통일의 수행을 의미하는 팔정도의 정정(正定)을 닦는데 방해가 된다. 우리의 대경이 변하여 마음이 고정하기 어려움. 따라서 도거(悼擧)는 대경은 변치아니하나 견해에 여러갈래를 냄으로 마음이 고정하지 못함을 말함. 관련글 : 수번뇌(隨煩惱) 2013. 1. 18.
도성제(道聖諦) 도성제(道聖諦) 도(道)란 열반에 이르는 길이다. 이것은 중도(中道)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양극단(兩極端)을 떠난 중간의 길이다. 즉 지나치게 쾌락적인 생활도, 반대로 극단적인 고행생활도 아닌, 몸과 마음의 조화를 유지 할 수 있는 “적당한 상태의 길”을 말한다. 소나경(Sona經)은 중도를 거문고 줄의 비유로써 설명하고 있다. 거문고 줄은 지나치게 팽팽해도, 그와 반대로 지나치게 느슨해도 좋은 소리를 낼 수 없다. 거문고가 가장 좋은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그 줄이 적당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열반을 얻기 위한 수행의 길도 극단적인 고행이나 지나친 쾌락적인 행을 피하고 중도를 실천해야 한다. 이 중도를 구체적으로 말한 것이 8정도(八正道)이다. 1) 정견(正見) - 바른 견해이다. 4성제에.. 2012. 4. 20.
사성제(四聖諦) 사성제 사제라고도 하며 불교의 실천적 교의로 팔정도,십이인연과 함께 원시불교의 중요한 가르침이며 인생의 문제와 그 해결 방법에 관한 네 가지(고,집,멸,도)의 훌륭한 진리의 도리(깨달음)를 말한다. 즉 삶은 고라는 진리로 상존하는 여덟가지의 고통을 말하는 고(苦)제, 그 고통들은 결국 무지와 욕망,집착의 번뇌에서 기인한 것이므로 그것을 모아 끊어야 한다는 진리인 집(集)제,고통의 원인인 번뇌를 완전히 끊어 멸한 열반이 해탈의 이상경이라는 진리를 멸(滅)제,이 모든 고통이 소멸되고 열반으로 인도하는 수행의 방법은 팔정도(팔성도)의 올바른 실천 밖에는 없음을 밝히는 진리인 도(道)제를 말한다. 사성제(四聖諦) 사진제(四眞諦)라고도 하며 미혹의 세계와 깨달음의 세계의 인(因) •과 (果)를 설명하는 불교의 기.. 2012. 1. 23.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 삼십칠각지․삼십칠각분․삼십칠각품․삼십칠도品․삼십칠조보제분법․삼십칠조도․삼십칠품요행이라고도 함. 열반(涅槃)의 이살경(理想境)에 나아가기 위하여 닦는 도행(道行)의 종류를 37로 나눈 것. ① 사념주 : 관신부정․관수시고․관심무상․관법무아 ② 사정근 : 미생지악 알령불생, 이생지악 단령불속미생지선령생, 이생지선령광 ③ 사신정 : 욕․정진․심․사유 ④ 오근 : 신․진․염․정․혜 ⑤ 오력 : 신력․진력․념력․정력․혜력 ⑥ 칠각지 ⑦ 팔정도를 합하면 37이 된다. 관련글 사념처 칠각지(七覺支) 오력(五力) 팔정도 (八正道) 사신족(四神足) 사정근(四正勤) 2010. 9. 24.
중도(中道) 중도(中道)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중정(中正)의 도. 석가모니(釋迦牟尼)가 밝힌 참다운 수행의 길로서, 불교에서 근본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다. 대승불교․소승불교에 걸쳐서 중요시되며, 그 뜻하는 바에 따라 의미 차이는 있지만 불교의 각 종파에서는 모두 이 어구(語句)로 교리의 핵심을 설명하고 있다. 중도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한국에서는 원시불교의 중도설, 대승불교의 중관파(中觀派)의 팔부중도설(八不中道說), 천태종의 삼제설(三諦說)에 의한 중도설이 널리 채택되었다. ① 원시불교의 중도설 석가모니가 도를 닦은 뒤 함께 고행했던 5명의 비구에게 가장 먼저 설교한 내용은 중도에 관한 것이었다. 즉 석가모니 자신이 체험한 깨달음에서, 출가 전의 낙행(樂行)도 출가 후의 고행도 모두 한편에 치우친 .. 2010.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