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20

무상보리(無上菩提) 무상보리(無上菩提) 5종보리(五種菩提)의 하나. 보살(菩薩)이 등각(等覺)․묘각위(妙覺位)에 이르러 일체의 번외(煩惱)를 끊어 없애고 불과원만(佛果圓滿)한 증오(證悟)를 이룬 것. 이 가운데 불(佛)이 증득한 보리(菩提)는 그 위에 더할 수 없기 때문에 무상(無上)이라 이름. 관련글 보리 (菩提) 2013. 2. 21.
무작계(無作戒) 무작계(無作戒) 2종 계체(戒體)의 하나. 작계(作戒)는 계를 받을 때에 법답게 3업(業)을 동작하는 것을 보고 곧 보고 듣고 할수 있는 업체(業體)를 말하고 무작계(無作戒)는 이 때에 작계의 연(緣)에 의하여 몸 가운데 생기는 것으로 보고 들을 수 없는 업체를 말한다. 이 업체의 처음 생기는 연은 몸, 입, 뜻의 동작에 의하지 않고 항상 상속하는 것이므로 무작(無作)이라 한다. 작계는 몸, 입의 동작이 쉬게되면 함께 없어지지마는 무작계는 평생을 항상 상속하여 방비지악(防非止惡)하는 공능(功能)을 낸다. 관련글 : 무작(無作) 공무상무작 대승무작대계 (大乘無作大戒) 작계(作戒) 2013. 2. 13.
무작(無作) 무작(無作) 1. 무위(無爲)의 법성(法性), 열반(涅槃)의 다른 이름. 2. 마음에 하고자 하는 의식이 없이 하는 일. 3. 몸, 입, 뜻(신구의)의 동작을 빌리지 않고 저절로 상속하는 것. = 무위계(無爲戒), 무작색(無作色) 2013. 2. 12.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 아미타불의 진실한 보토(報土) 48원 가운데 광명 무량하기를 서원한 본원에 응하여 성취한 정토. 이 정토는 한량없는 광명이 가득한 국토라는 뜻에서 이름. 관련글 : 아미타불(阿彌陀佛) 광명무량원 본원(本願) 2013. 2. 10.
만자교(滿字敎) 만자교(滿字敎) 2교의 하나. 소승교를 반자교(半字敎)라 하고 대승교는 의리가 원만하여 글자가 완성된 것과 같음으로 만자교라 한다. 천태종에서는 통(通), 별(別), 원(圓)의 3교를 말한다. 2013. 2. 9.
묘각(妙覺) 묘각(妙覺) 불과(佛果)를 말한다. 보살 수행의 지위 점차인 52위(位)나 41위의 마지막 지위. 등각위(等覺位)에 있는 보살이 다시 1품의 무명을 끊고 이 지위에 들어간다. 온갖 번뇌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자리 관련글 : 등각 구경위(究竟位) 2013. 2. 1.
무외(無畏) 무외(無畏) 무소외(無所畏)라고도 한다. 불·보살이 대중을 향하여 법을 설할 때에 마음에 두려움이 없는 것. 여기서 4종이 있어 사무외(無畏)라 한다. 관련글 : 시무외(施無畏) 십무외 (十無畏) 사무소외 누진무소외 법무소외(法無所畏) 설장법무소외(說障法無所畏) 설진고도무소외 2013. 1. 27.
밀성별익(密成別益) 밀성별익(密成別益) 천태종에서 반야시(般若時)에 도태(淘汰)된 이익을 나타내는 말. 부처님은 5시 설법의 제4 반야시에서 을 설하여 모든 법은 죄다 공하다는 이치를 밝혀 진실한 이상 목적을 보였고, 제3 방등시(方等時)에서 꾸짖은 데 이어서 도태하는 설법을 하다. 이 반야시에서 수행자가 부처님의 도태에 따라 자타가 함께 알지 못하는 사이에 근기가 성숙하여 별교(別敎)의 이익을 얻는 것을 말한다. 관련글 : 5시8교(五時八敎) 2013. 1. 22.
명부(冥府) 명부(冥府) 명토(冥土)의 왕인 염마왕(閻魔王)이 있는 곳. 속어로는 염라부(閻羅府)·지부(地府)라 한다. 관련글 : 명부전(冥府殿) 명부의재판관 염라대왕 2013. 1. 21.
무간정(無間定) 무간정(無間定) 4선근위(善根位)중 세제일위(世第一位)에서 상품의 상여실지(上如實智)를 발하여 쌍으로 소취(所取)· 능취(能取)의 공무(空無)한 것을 인가하는 것. 이로부터 바로 견도(見道)에 들어가 진리를 비춰 보므로 무간정이라 한다. 2013.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