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57

접족례(接足禮) 접족례(接足禮) 두면예족(頭面禮足), 계수예족(稽首禮足). 줄여서 두면례, 계수례라 한다. 인도의 절하는 법. 두 손으로 절 받을 이의 발을 받들어 자기의 머리에 대는 것 관련글 : 오체투지(五體投地) 고두배 계수(稽首 Vandana Vandi 2013. 2. 13.
전미개오(轉迷開悟) 전미개오(轉迷開悟) 미한 것을 돌이켜 깨달음을 얻는 것. 곧 번뇌를 끊고 불교의 이상(理想)인 열반을 증득 함. 관련글 : 돈오(頓悟) 열반 (涅槃) 2013. 2. 11.
정진신족(精進神足) 정진신족(精進神足) 무언가를 얻기 원했다면 그 다음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뛰어난 선정에 들려고 노력하고 그러한 정진에 마음을 집중하는 것이 정진신족이고 이로부터 얻어진 선정의 상태를 근삼마지(勤三摩地)라고 한다. 2013. 2. 2.
지견(知見) 지견(知見) 사리(事理)를 증지(證知)하는 견해. 의식(意識)에 의해 아는 것을 지(知), 안식(眼識)에 의해 보는 것을 견(見)이라 한다. 또 추구(推求)를 지(知), 각료(覺了)를 견(見)이라고도 한다. 또 삼지(三智)를 지(知), 오안(五眼)을 견(見)이라 한다. 사리(事理)를 증지(證知)하는 혜(慧)의 작용을 일컫는다. 정지견(正智見), 또는 지견(智見)이라고도 함. 2013. 1. 29.
자증분(自證分) 자증분(自證分) 법상종에서 인식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사람의 의식 작용을 넷으로 나눈 중, 상분(相分)을 인식하는 작용을 견분(見分)이라 함에 대하여 다시 통각적증지(統覺的證智)를 주는 작용을 자증분이라 한다 관련글 : 진나(陳那 Dinnaga) 법상종 2013. 1. 14.
지법신(智法身) 지법신(智法身) 수행에 의하여 시각(始覺)의 지혜가 끝까지 이르러 본각(本覺)의 이치에 계합하고, 이(理)와 지(智)가 서로 융통하여 색과 심이 둘이 아닌 지혜가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 시각(始覺) 관련글 : 본각(本覺) 2012. 12. 23.
적광(寂光) 적광(寂光) 번뇌를 끊고 적정(寂靜)한 자리에서 발하는 진지광명(眞智光明) 적광토(寂光土) 상적광토(常寂光土)의 준말. 진리와 지혜가 일치된 각자(覺者)가 거주하는 세계. 곧 법신불(法身佛)의 세계 관련글 : 사바즉적광(娑婆卽寂光) 비로자나불 법신 2012. 12. 16.
증상만성문(增上慢聲聞) 증상만성문(增上慢聲聞) 소승을 배우고 만족하게 여기며 또 증득하지 못한 법을 증득하였다고 생각해서 높은 체 하는 성문 5종 성문중의 하나. 관련글 : 증상만(增上慢) 증상만인(增上慢人) 2012. 12. 11.
전법관정(傳法灌頂) 전법관정(傳法灌頂) 전교관정(傳敎灌頂), 전법아사리관정(傳法阿闍梨灌頂), 수직관정(受職灌頂)이라고도 한다. 비밀교(秘密敎)의 학습을 성취하였을 때에 대아사리(大阿闍梨)의 지위를 받고 이것을 다른 이에게 전해주는 지위에 오르기 위한 관정(밀교의식). 이 관정으로 대일여래의 직(職)을 받아 자신이 밀교의 법을 넓혀 전하는 아사리가 된다. 관련글 : 관정(灌頂) 비밀관정(秘密灌頂) 아사리(Acarya) 대일여래 2012. 11. 30.
시선(廝禪) 시선(廝禪) 시는 ‘서로’의 뜻. 선법(禪法)을 서로 겨룸. 사가(師家)와 학인이 서로 의논하고 문답하는 것. 한 마디 물으면 한 마디 대답하면서 서로 겨루어 보는 것. 2012.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