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83

변화(變化) 변화(變化) 본래 형체를 전환하는 것을 변이라 하며, 없던 것이 문득 생기는 것은 화(化)하고 한다. 1. 불보살이 중생을 교화하기 위하여 형상을 변하여 여러 가지 모양을 나타내는 것. 2. 요괴(妖怪). 변괴로 생긴 것. 2018. 8. 8.
법숙(法叔) 법숙(法叔)선종에서 스승의 사형(師兄)이나 사제(師弟)를 일컫는 말.우리나라 속어로는 사숙(師叔)이라 한다. 2018. 8. 5.
별원(別願) 별원(別願)총원의 반대.사홍서원과 같이 모든 보살들이 공동으로 일으키는것은 총원(總願).아미타불의 48원, 약사여래의 12원과 같이 한 부처님만이 세우는 별개의 서원은 별원. 관련글 : 총원(總願) 본원(本願) 2017. 6. 13.
변화법신(變化法身) 변화법신(變化法身)5종 법신의 하나.여래의 법신은 기류(機類)의 감(感)하는 데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하여 나타남으로 이렇게 이름한다.관련글 : 색신과 법신 법신 견고법신 2017. 6. 10.
범망계(梵網戒) 범망계(梵網戒) 에 말한 계율.10중대계, 48경계, 대승행을 하는 보살들이 받아 지니는 계율. 관련글 : 범망경(梵網經) 2017. 5. 27.
본서(本誓) 본서(本誓)본래의 서원(誓願).부처님이 지난 세상에 성불하려고 수행하던 때에 세운 서원=본원 관련글 : 본원(本願) 2017. 5. 22.
법세(法歲) 법세(法歲)법랍(法臘), 계랍(戒臘), 하랍(夏臘)이라고도 한다.중이 된 때부터 세는 햇수.승려는 안거 제도에 의해 음력 7월 16일을 세수(歲首)로 함으로 여름안거를 마치는 날, 곧 음력 7월 15일을 납제(臘除) 또는 불납일(佛臘日)이라 한다. 관련글 : 하랍(夏臘) 법랍(法臘) 2017. 4. 21.
법화종(法華宗) 법화종(法華宗)자세하게는 천태법화종.천태지자가 법화경을 근본 성전으로 삼고 성립한 종지이므로 법화종이라 한다. 2017. 4. 18.
법체항유(法體恒有) 법체항유(法體恒有) 모든 법의 체성, 곧 만유의 실체는 과거 현재 미래의 3세에 걸쳐 항상 존재한다는 말. = 법체실유(法體實有) 관련글 : 삼세실유(三世實有) 법체항유(法體恒有) 2015. 11. 4.
법이도리(法爾道理) 법이도리(法爾道理) 난 것은 반드시 죽고 인(因)이 있으면 반드시 과(果)가 있는 것 같은 도리. 2015.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