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루과(有漏果) / 유루단 (有漏斷)

by 정암 2023. 4. 1.

유루과(有漏果)

유루의 업인(業因)으로 말미암아 받게 되는 과보(果報).

곧 인간·천상 등 3() 5()의 몸과 국토를 말한다.

유루단 (有漏斷)

무루단(無漏斷). 유루의 6행관(行觀)으로써 번뇌를 끊음.

끊을 번뇌는 3계를 9()에 나누고 각지()마다 9품의 번뇌가 있어 모두 81.그중 앞 엣 8지의 번뇌인 72품의 수혹(修惑)이니, 범부는 6행관으로 끊고, 성자(聖者)는 세속도(世俗道)에 의하여 끊는다. 39지의 최상인 유정천(有頂天)은 그 위의 지()가 없으므로 유루단은 없다.

 

유루(有漏)

유루(有漏) 누(漏)는 누설하다는 뜻. 우리들의 6문(門)으로 누설하는 것. 곧 번뇌. 이 번뇌를 따라 늘어나는 뜻을 가진 법, 곧 고체(苦諦), 집체(集諦)를 유루라 한다. 에는 다른 이름이 많다. 취온(

studybuddha.tistory.com

 

 

오취온(五取蘊)

오취온(五取蘊) =오온(五蘊) 5온은 유루(有漏) 무루(無漏)에 통하고 5취온은 유루뿐. 취는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온(蘊)을 낳고 온은 또 번뇌를 낳음으로 온을 취온이라 한다. 관련글 : 오온(五

studybuddha.tistory.com

 

 

삼계(三界

삼계(三界) 중생이 생사유전(生死流轉)하는 미망(迷忘)의 세계를 3단계로 나눈 것.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삼계를 말한다. 중생들이 윤회하면서 존재하는 세계이므로 삼유(三

studybuddha.tistory.com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루선(有漏禪) / 유루선 (有漏善)  (0) 2023.04.01
유마(維摩)  (0) 2023.04.01
유루도(有漏道) / 유루로(有漏路)  (0) 2023.04.01
유량 (有量) /유량제상(有量諸相)  (0) 2023.04.01
유대촉(有對觸)  (0) 2023.03.31
유대(有對)  (0) 2023.03.31
유기법(有記法)  (0) 2023.03.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