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론종6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 그대로가 곧 보리라는 것.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과 함께 쓰는 말 중생의 미견(迷見)으로 보면 미망(迷妄)의 주체인 번뇌와 각오(覺悟)의 주체인 보데가 딴판이지만 깨달은 눈으로 보면 두 가지가 하나이고 차별이 없다는 근거에 두 가지가 있다. 1. 등에서 말한 소극적 제법실상론(諸法實相論)으로 보면 온갖 법은 모두 공(空)한 것이어서 번뇌라고 집착할 것도 없고 보데라고 집착할 것도 없은즉 미견(迷見)으로 집착하는 번뇌와 보리는 다같이 공하다고 말하는 것. 삼론종(三論宗)과 선종(禪宗)에서는 이러한 처지에서 중생들의 집착을 떼어 버리고 공적무상(空寂無相)한 경지에 들어갈 것을 가르쳐 보이다. 2. 천태의 적극적 제법실상론이나 의 법계연기론(法界緣起論)으로 말하면 미망(迷妄)의 현.. 2013. 6. 5.
파사현정(破邪顯正) 파사현정(破邪顯正) 사도(邪道)를 파척(破斥)하고 정리(正理)를 나타냄. 불교의 모든 종파는 모두 파사현정으로 종취를 삼거니와 그 가운데도 특히 삼론종은 다른 종파에서 사는 사라고 파척하고 따로 정리를 나타내는데 반하여 파사하는 밖에 따로 현정이 있는것이 아니고 파라하는것이 그대로 현정이라 주장. 파현(破顯), 파신(破申)이라고도 한다. 관련글 : 삼론종(三論宗) 2013. 4. 14.
실상론(實相論) 실상론(實相論) 만유의 본체 또는 현상을 포착하여 본체는 무슨 물건이며 현상은 허망한가 진실한가를 궁구(窮究)하여 횡(橫)으로 연구한 교리. 성실종, 삼론종, 천태종등이 이에 속함. ↔ 연기론(緣起論) 2013. 3. 19.
공유이종 공유이종 근본적 입장으로서 공을 설하는 종과 유를 설하는 두 종. 소승 안에서는 크게 구사종을 유종, 성실종을 공종으로 하고, 대승 안에서는 법상종을 유종, 삼론종을 공종으로 한다. 2011. 8. 19.
백론(百論) 3세기 무렵 인도 중관파(中觀派)의 불승 제바(提婆)의 책. 범어 원전이나 티베트역도 없다. 다만 바수(婆藪)의 주석이 붙은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만 남아 있다. 이 책은 용수(龍樹)의 ‘중론(中論)’을 수용하면서 불교의 공(空), 무아설(無我說)을 다른 학파의 설을 논파(論破)함으로써 밝히고 있다. 특히 바이세시카파, 상캬파 등의 학설을 많이 내세우고 있다. 그래서 3세기 무렵 인도철학의 여러 학파의 학설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고 있다. ‘백론서(百論序)’를 쓴 승조(僧肇)에 따르면 현재의 한역은 전반 10장 50게(偈)만 되어 있고 후반 10장 50게는 빠져 있다고 했다. 이렇게 전후반 합쳐 100게가 되기 때문에 ‘백론(百論)’이라는 제명을 붙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삼론종(三論宗)의 .. 2011. 3. 9.
무득정관 (無得正觀) 무득정관 (無得正觀) 무소득중도의 정관. 삼론종에서 모든 법의 진상은 상대적인 공(空)을 공하여 버린 불가득(不可得)의 공이라고 관하는 관법. 2010.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