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살5

예참 예참 부처나 보살에게 예배하고 죄를 참회함. 관련글 : 참회(懺悔) 포살 (布薩) 자자(自恣)와 포살(布薩) 2012. 2. 23.
자자(自恣)와 포살(布薩) 자자(自恣)와 포살(布薩) 데바닷다가 교단의 개혁을 요구했으나 부처님이 이를 거절했다고 해서 당시의 승단이 청정한 계율을 지키지 않았느냐 하면 그것은 아니다. 부처님이 거절한 것은 지나친 율법주의였을 뿐, 승가는 청정을 생명으로 여겼다. 따라서 청정과 율법주의는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구의 성스러움과 청정성은 승가를 유지해 가는 기반이 되는 것으로써 이것은 비구생활이 실제로 어떻게 바르게 행해지느냐와 깊은 관련이 있다. 수행생활에서 잘못이 있으면 반성하고 죄를 지었으면 참회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불교교단은 초기부터 제도적으로 확립하고 있었다. 자자와 포살이 바로 그것이다. 자자란 우안거 종료일에 삼개월 동안 함께 지낸 동료들끼리 율의 가르침을 지키고 그것을 깨뜨린 일이 없었는가를 서로 반성하고.. 2011. 9. 4.
건도(犍度) 건도(犍度) skandhaka, khandhaka의 음역. 법취 편 품 장 취라고도 한역한다. 부류별에 따라 모은 것으로서, 소승률에는 수계와 포살 안거 등의 교단 안의 규정 등을 부류별로 정리하여, 이것을 건도부라 부르고 있다. 건도는 출가 입단법을 규정한 수계건도, 포살의 규정을 설명한 포살건도, 안거의 규정을 설명한 안거건도, 자자의 규정을 설명한 자자건도, 가죽제품의 소지 규정을 설명한 피혁건도, 음식물 약 등에 관한 규정을 설명한 약건도, 가치나의에 관한 규정을 설명한 가치나의건도, 비구의 옷에 관한 규정을 설명한 의건도, 회의 방법에 관한 것을 설명한 첨파건도, 교단 안에서의 분쟁을 말한 구섬미건도의 10을 대품이라 부른다. 소품은 12개로 되어 있는데 형벌에 관한 것이 많다. 관련글 보기 ;.. 2011. 3. 20.
가책(呵責) 가책(呵責) 스님들이 수행하다가 잘못을 저지르면 여러 대중 스님 앞에서 죄를 낱낱이 고하고 응분의 벌을 받는다는 의미로 ‘양심의 가책을 느낀다.’ 혹은 ‘그것은 가책 받을 일이다’ 등으로 사용된다. 가책 받은 스님에게는 여러 가지 자격이 박탈되며 근신해야 할 규약이 있다. 자자(自恣 Pravarana) 포살 (布薩) 2011. 2. 11.
자자(自恣 Pravarana) 자자(自恣 Pravarana) 하안거가 끝나는 날 승단이 한자리에 모여 삼 개월 간의 안거 기간 동안의 수행을 점검하고 각각 자신이 타인들에게 비난받을 만한 행 위가 있었는지를 물은 뒤 잘못을 반성하고 참회하는 행사 불교에서 승려들이 서로의 허물을 지적해주는 수행의식. 하안거(夏安居)가 끝나는 7월 15일에 행한다. 자자(自恣)를 하려면 먼저 자신의 허물과 실수를 지적해 달라고 동료스님에게 청한다. 지적이 있으면 과오에 대해 사과하거나 반성을 한다. 없으면 가만히 앉아 있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칫 나태하기 쉬운 수행의지를 다시 한번 다지게 된다. 자자를 끝낸 스님은 청정하다. 이런 스님에게 공양을 올리면 더욱 큰 공덕을 얻는다고 한다. 마침 자자일(自恣日)인 7월 보름이 유명한 우란분절(盂蘭盆節)이다... 201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