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위타 (韋陀) 위타 (韋陀) 범어「Veda」의 음역. 번역하여 지론·명론·무대라 함. 인도 바라문교의 근본 성전. 인도의 가장 오래된 종교 문헌. 위타는 이곳 말로 하면 지론인데, 이것을 알면 지혜가 생기니 곧 삿된 지혜의 논리(邪智論)이다. 위타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아유(Rg)위타로서 이곳 말로는 방命 또는 수라 하는데 양생하고 선성을 말한다. 두 번째는 수야(Yajur)위타로서 제사와 기도를 말한다. 세 번째는 바마(Sāma)위타로서 례의와 점복과 병법과 군진을 말한다. 네 번째는 아달바(Atharva)위타로서 기예와 금주와 의방을 말한다. 또는 사명이라 말한다. 첫 번째는 성명으로서 소리를 통한 가르침으로 세간의 문자와 부처님의 말과 훈자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공교명으로서 기술과.. 2010. 9. 27.
운법(雲法) : 1088(元祐 2)~1158(紹興 28) 운법(雲法) : 1088(元祐 2)~1158(紹興 28). 중국 장주 사람. 속성은 과씨. 자는 천서. 호는 무기자. 9세에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통조에게 천태학을 배우고 천축사의 민법사에게 화엄경을 배우다. 정화 7(1117)년 송강의 대각사에 주하면서 법화경 등을 8년 동안 강하니 제가 듣고 자의와 보윤대사의 호를 내려줌. 紹興 28(1158)년 9월 단좌이화하다. 저서에 「식음집」·「번역명의집」·「금강경」과「심경소초」가 전한다. 2010. 9. 27.
명상(名相) 명상(名相) 모든 물건이나 일에는 다 이름과 형상이 있다. 우리는 그 이름만 듣고도 사물의 형상을 생각하게 되다. 형상이란 바탕과 모양이 있고 없음을 막론하고, 공간적으로 있는 형용과 체적․질량뿐 아니라, 시간적으로 나타나는 싱주이멸성주괴공(生․住․異․滅, 成․住․壞․空)도 형상이다. 또한 5관(五官)으로 감촉되는 열도(熱度)․소리․빛․냄새․맛 같은 것도 형상이다. 그러나 이 이름이나 형상은 그 자체가 본래 확실히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망령된 생각이 지어낸 빈 이름이며 한 때의 인연을 따라 생겨난 일시적인 허상(虛像)이다. 2010. 9. 27.
망연 (妄緣) 망연 (妄緣) ① 연(緣)은 내 몸의 안팎에 관계되는 사물(事物). 이 연체(緣體)는 허망(虛妄)하여 실다움이 없기 때문에 망연(妄緣)이라 함. ② 이 사물은 내가 망정(妄情)을 일으키는 연유(緣由)가 되므로 망연(妄緣)이라 함. 2010. 9. 27.
마하승기율 (摩訶僧祈律) 마하승기율 (摩訶僧祈律) 동진(東晉)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 번역한 율(律)에 관한 책 4부율중의 하나로 독자부에서 전한 율. 처음에 비구계를 말하고 다음에 비구니계를 말함. 2010. 9. 27.
마하연 (摩訶衍) 마하연 (摩訶衍) 마하야나(Mahayana)의 준말. 번역하면 대승(大乘) 마하연나(摩訶衍那)의 준말. 성문, 연각의 2승 교법을 소승이라 함에 대해서 보살의 교법을 대승이라 한다. 마하연 (摩訶衍) 강원도 금강산에 있는 절이름. 표훈사에 딸린 암자로 661년 신라문무왕 1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 관련글 : 대승과 소승 2010. 9. 27.
마파순 (魔波旬) 마파순 (魔波旬) 천마 (天魔) 파순(波旬). 부처님의 성도를 방해했던 마군 2010. 9. 27.
마사(魔事) 마사(魔事) 악마(惡魔)의 소작(所作)으로 불도(佛道)에 장애(障礙)가 되는 일 2010. 9. 27.
마량부관음 (馬朗婦觀音) 마량부관음 (馬朗婦觀音) 관세음보살의 화신(化身)으로서 여자의 모양을 함. 2010.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