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12 문사수(聞思修) 문사수(聞思修) 문(聞)은 문혜(聞慧)로서 들어서 얻은 지혜. 사(思)는 사혜(思慧)로서 생각해서 얻은 지혜. 수(修)는 수혜(修慧)로서 실천 수행하여 얻는 지혜. 이를 삼혜(三慧)라고 함. 앞의 2혜는 산지로서 다만 수혜(修慧)를 발하게 하는 연(緣)이 될 뿐이요, 수혜(修慧)는 정지(定智)로서 미혹(迷惑)을 끊고 진리를 증득케 하는 용(用)이다. 2010. 9. 27. 무생사제 (無生四諦) 무생사제 (無生四諦) 인연으로 생긴 것들의 본체 (本體)는 공(空)하여 나고(生) 죽음(滅)이 없다는 이론 2010. 9. 27. 무상정변도 (無上正遍道) 무상정변도 (無上正遍道) 부처님의 깨달음. 부처님의 깨달음은 그를 능가할 것이 없고 진실함 2010. 9. 27. 무상상 (無上上) 무상상 (無上上) 무상무상 (無上無上)의 뜻. 부처님은 더할 나위 없는 분이란 뜻. 부처님의 덕호(德號) 2010. 9. 27. 무법공 (無法空) 무법공 (無法空) 무법이란 과거와 미래의 법. 무법은 공(空)하여 없다는 이론. 2010. 9. 27. 무간 나락 (無間奈落) 무간 나락 (無間奈落) 무간 지옥 참조] 奈:어찌 내, 나락 나 관련글 아비 (阿鼻) 2010. 9. 27. 묘당삼매 (妙幢三昧) 묘당삼매 (妙幢三昧) 법화경 16삼매의 한 삼매. 이 삼매를 얻으면 군대 중에 장군의 깃발이 으뜸이듯 으뜸의 삼매를 이룸. 관련글 법경삼매 (法鏡三昧) 삼매 (三昧) 무간삼매 (無間三昧) 2010. 9. 27. 묘과(妙果) 묘과(妙果) 수묘(殊妙)한 결과(結果). 즉 보리(菩提) · 열반(涅槃)을 말함. 이를 묘인(妙因)의 결과(結果)라 한다. 2010. 9. 27. 목환자경 (木患子經) 목환자경 (木患子經) 1권에 목환자 108염주를 만들어서 불타․달마․승가의 이름을 외우면 죄장이 없어지고 생사를 면한다고 하고, 또 이름을 외우는 편수에 따라 그 공덕의 깊고 얕음을 나타내었다. 관련글 : 목환자(木患子) 염주 (念珠) 백팔염주 2010. 9. 27. 이전 1 ··· 320 321 322 323 324 325 326 ··· 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