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당5

금당 금당 금당은 금빛나는 부처님을 모신 불전(佛殿)을 이르는 말이다. 금당과 불전은 비슷한 말이지만 금의 네임밸류가 있어서 인지 금당이 훨씬 환상적이다. 삼국시대때는 불단(佛壇)이 오늘날과 달리 중앙에 있었다. 그리고 마루대신 방전(方塼?네모벽돌)을 깐게 특색이다. 부석사 무량수전이나 무위사 극락전에도 방전을 깔았다. 황금부처님의 집 금당은 절집의 핵심 아이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초까지만 해도 본존불을 모신 사찰의 중심건물을 금당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후부터는 본존불의 성격에 따라 대웅전, 미타전 등으로 중심건물의 성격을 구체화시켰다. 금당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초기까지 문헌에 많이 언급되다가 그 이후부터 본존불의 성격에 따라 건물의 명칭을 달리 불렀다. 즉 석가모니를 본존불로 봉안하였을 경우에는 대웅.. 2012. 2. 11.
신중단 신중단 불법을 따르는 수행자들과 착한 사람들을 보살피는 수호신들을 모신 단. 법당 안에 들어서면 부처님을 모신 곳 옆에 자리한 불단을 가리킴. 관련글 : 법당 불단(佛壇) 신중작법 2012. 2. 1.
법당 법당 일반적인 강당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불교에서는 큰 법을 펴며 종지를 강의하고 일체의 법요식을 행하는 장소를 가리키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본존상 등 불,보살을 봉안한 곳을 법당이라고 한다. 이 법당으로 들어가는 문은 여러 개가 있는데, 법당의 정면에 중앙문이 있고 양쪽 옆으로 각각 하나씩 문이 있으며 법당 좌우의 측면 벽에 또 문이 하나씩 있는 것이 우리나라 법당 건물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법당의 내부 중앙에는 불보살님을 모신 상단이 있는데 상단의 주좌를 기준으로 가운데 통로를 어간이라 하고 이어져 있는 법당 정면 벽의 중앙에 있는 문을 어간문이라 하여 이 어간문으로는 설법을 행하시는 덕 높은 스님들의 출입만이 허용 되므로 일반 불자들은 중앙의 어간문이나 어간의 이용은 피하고 좌,우쪽의 문과 공간.. 2012. 1. 11.
법당에 들어갈 때 법당에 들어갈 때 어쩌다 보면 법당에 들어갈 때 당당히 어간문(御間門)이라고 하는 정문으로 들어가는 사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절집에선 어느 누구 하나 지적하지 않는다. 부처님의 한없는 자비와 사랑 때문이다. 그러나 어간문(御間門)이란 말처럼 가운데 문은 절집의 왕인 부처님이 드나드시는 문이다. 심지어 스님들도 함부로 이 문으로 출입하지 않는다. 반드시 좌우양쪽의 작은 문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 전통 목조건물의 문은 열고 닫을 때 마찰음이 생긴다. 오랜 세월동안 건물하중으로 인해 침하되었기 때문이다. 절집뿐만 아니라 모든 문이 마찬가지다. 문고리를 잡고 살짝 들어 올려 열면 귀신같이 조용하다. 옛날 어르신들은 문여는 것만 보고도 며느리감을 헤아렸다고 한다. 쾅 쾅 문을 열고 닫는 요즘의 세.. 2012. 1. 11.
법고 (法鼓) 법고 (法鼓)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악기. 홍고(弘鼓)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때 북의 가죽은 암소와 수소의 가죽을 양면에 대어 음양의 조화성을 울리게 한다. 큰 것은 지름이 2미터에 달하는 것도 있다. 범종각의 법고는 불전사물(佛前四物)로 불린다. 아침 저녁 예불 때 친다. 법고를 치는 이유는 축생(畜生)을 제도하는 의미라고 한다. 또한 정법(正法)의 북을 쳐서 시방세계(十方世界)를 깨우치게 하기 위함이다. 법고를 칠 때는 두 개의 북채로 마음 심(心)자를 그리면서 두드린다. 북은 크게 법고 또는 홍고(弘鼓), 대고(大鼓), 소고(小鼓), 요고(搖鼓)로 나눈다. 홍고는 범종각의 북이고 대고는 염불의식의 북이다. 소고는 승무에서 쓰인다. 요고는 흔드는 북으로 티벳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북의 몸통에는 대개 용.. 2011.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