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불명패 불명패 불.보살의 명호를 적은 패(예:교주석가여래(敎主釋迦如來))로 일반적으로 밑 부분에 연화대좌와 윗 부분에 구름, 용, 연화 등의 문양을 조각하며 비석이나 탑의 옥개석 형태를 취하기도 한다. 2011. 12. 8.
백파집(白坡集) 백파집(白坡集) 《白坡集》은 긍선(昁璇 1767∼1852)의 문집이다. 긍선은 호가 백파(白坡)이며, 설봉선사(雪峰禪師)의 법맥을 이었다. 文集 4卷을 남겼다는 기록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 2011. 12. 8.
반야바라밀 반야바라밀 육바라밀을 실천하여 얻어지는 지혜의 완성. 분별과 집착이 끊어진 완전한 지혜를 성취함. 분별과 집착을 떠난 지혜의 완성. 지혜바라밀과 같음. 관련글 : 육바라밀(六波羅蜜) 반야심경 바라밀 (婆羅蜜) 2011. 12. 6.
금강령 금강령 금령 또는 요령이라고도 하며 불교의식 때 제존에 기쁨을 드리고 중생들을 성불의 길로 인도해 주는 목적으로 이 금강령을 흔들어서 소리를 내어준다. 금강령의 구성은 종신,손잡이,금강저 부분으로 되어있고 종신 부분에 조각이 있을 때는 주로 불법을 수호하는 오대 명왕을 비롯하여 범천왕,제석천왕,사천왕,팔부중 등 호법신장을 표현하며, 조각이 없을 때는 손잡이 부분과 종신 부분을 돌림대로 처리한다. 수행 중의 번뇌를 없애 준다는 의미를 갖고있는 금강저는 그 가지 수에 따라 가지가 하나이면 독고령,3개이면 3고령 등 개수에 따라 5고령,9고령으로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3고령과 5고령을 많이 사용한다. 관련글 : 광명봉저 요령 금강저 2011. 12. 6.
금강권인 금강권인 수인의 하나로 엄지손가락을 손바닥에 넣고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싸쥔 모양으로 가슴위에 올려놓는 인상이다. 금강계 대일여래의 오른손 수인이며 양부 에서는 금강계에 속하고 이지이덕 중에서는 지혜가 금강처럼 견고함을 표시하는데서 이렇게 이름 하였다. 관련글 : 수인(手印) 지권인 촉지인 미타정인 연화합장인 법계정인 전법륜인 2011. 12. 6.
광명봉저 광명봉저 금강저를 말한다. 대일여래의 지혜의 표지이므로 광명이라 하고, 그 머리가 뾰족하므로 봉이라 한다. 관련글 : 금강저 대일여래 2011. 12. 4.
긋기단청 긋기단청 가칠 단청을 한 후 그 위에 부재의 형태에 따라 먹선과 분선을 나란히 긋기 하는 것을 말 하며 경우에 따라 한 두가지 색을 더 사용할 때도 있다. 사찰의 요사채나 향교,서원 부속 건물의 내부 등에 많이 쓰인다. 관련글 : 갖은금단청 가칠단청 모로단청 2011. 12. 4.
만덕산백연사제이대정명국사후집(萬德山白蓮社第二代靜明國師後集) 만덕산백연사제이대정명국사후집(萬德山白蓮社第二代靜明國師後集) 《萬德山白蓮社第二代靜明國師後集》은 천인(天因 1205∼1248)의 문집이다. 제목으로 보아 전집(前集)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후집(後集)은〈미타찬게 彌陀贊偈〉와〈법화수품찬게 法華隨品贊偈〉로 되어 있다. 발문(跋文)이 있으나 뒷부분이 결락(缺落)되었다. 2011. 12. 3.
문사수혜(文思修慧) 문사수혜(文思修慧) 들어서 얻는 지혜, 생각해서 얻는 지혜, 실천 수행하여 얻는 지혜의 3가지 지혜를 말한다.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