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불족문 불족문 부처님의 발자국 문양. 사실 부처님의 위대한 전법륜(轉法輪)도 발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과거 교통수단이 없었던 시절에는 더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이렇게 열심히 산 인생에게는 만족(滿足)이니 흡족(洽足)이니 하는 발 족(足)계열의 말로써 보답이 되었다. 부지런한 발은 행복의 지름길이었다. 그래서 부처님에 대한 최상의 경례(敬禮)는 부처님 발에 이마를 대고 절하는 이른바 불족정례(佛足頂禮)였다. 인류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에 대한 헌사요 찬가인 것이다. 또 열반하신 부처님이 마하가섭에게 발을 보여주어 진리의 전등(傳燈)을 하신 것도 불족(佛足)신앙을 부추겼다. 이른바 곽시쌍부(槨示雙趺)다. 이러한 불족신앙은 자연스레 미술의 소재로 떠오르게 된다. 인도 부다가야 대보리사 정문앞에는 불족문이 새겨진 돌.. 2011. 11. 26.
부처님 가운데 토막 부처님 가운데 토막 사람이 아주 점잖고 온순할 때 하는 소리다. 이상하게도 중자 돌림의 속담은 냉소주의로 가득 차 있는데 그래도 부처돌림의 속담은 약간 비켜 간다. 차마 부처님에게 까지 어깃장을 놓기는 좀 그런가 보다. 2011. 11. 26.
부적(符籍) 부적(符籍) 악귀(惡鬼)나 잡신을 쫓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야릇한 글자나 모양을 그린 종이를 벽 등에 붙이거나 몸에 지니고 다니거나 하는 것으로 신부 (神符) 또는 부작(府作)이라고도 함 2011. 11. 26.
법계정인 법계정인 수인의 하나로 입정인과 지권인을 모두 법계정인이라 한다. 두손을 포개어 무릎위에 얹어 놓되 두 엄지손가락을 서로 맞대고 오른손을 왼손위에 올려놓는 모양이다. 흔히 부처님께서 선정에 들거나 제자들이 수행 정진할 때 취하는 모습이다. 선정인과 같은말 관련글 : 수인(手印) 연화합장인 지권인 촉지인 2011. 11. 26.
백암집(栢庵集) 백암집(栢庵集) 《栢庵集》은 성총(性聰 1631∼1700)의 문집이다. 성총의 호는 백암(栢庵)이며, 추미수초(翠微守初)의 법을 이었다. 《백암집》은 2권1책으로, 간행 연대와 장소가 분명치 않은 목판본이 현전한다. 권上에는 詩가, 권下에는 文이 있는데, 詩는 종류의 구분이 없이 편집되었으며, 증여시(贈與詩)와 차운시(次韻詩)의 형태가 많다. 文은 記·序·上梁文·書·疏·勸善文 등으로 양이 풍부한 편인데 대개 문체별로 모여 있으나 엄격하지는 않다. 이 중에 특히 記가 많아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고, 書·疏·勸善文도 많다. 무용수연(無用秀演)이 쓴 백암화상문서〈栢庵和尙文序〉가《無用集》에는 실려 있는데도 불구하고, 본 문집에는 그것이 실리지 않았다. 卷의 상하를 구분할 수 있는 卷頭題가 없으나 版心에는 그것이 .. 2011. 11. 25.
구사일언 구사일언 공자는 9번 반성하고 생각해서 한 마디의 말을 한다는 뜻이다. 2011. 11. 25.
월초거연(月初巨淵,1858-1934) 월초거연(月初巨淵,1858-1934) 근대 스님, 교육가. 서울태생 성은 홍(洪)씨. 15세에 송릉리 부도암 환옹(幻翁)에게 득도하고, 32세까지 제방 강원, 선원에서 수행하다. 1900년 고양군 은평면에 수국사(守國寺)를 창건하고, 고종(高宗)의 동궁이 아플 때 운문사 사리굴(雲門寺 舍利窟)에 백일기도로 쾌차케 한 공덕으로 불사를 완성하다. 1906년 동대문 밖 원흥사(元興寺)에 명진학교(明進學校)를 열어 승려교육에 힘쓰니 동국대학교(東國大學)의 효시이다. 1913년 봉선사(奉先寺) 주지에 추대되고, 1927년 사재를 들여 개운사 강원(開運寺 講院)의 설립을 도우고, 1934년 봉선사에 홍법강원(弘法講院)을 설립 운허(耘虛)스님을 강사로 승려교육에 힘쓰다가 그해 4월 봉선사에서 입적하다. 행장비(行狀碑.. 2011. 11. 24.
구성의 여래 구성의 여래 구성은 구원실성의 준말. 영원의 옛적부터 깨달음을 열었다는 뜻. 구성의 여래는 영원의 부처를 말한다. 관련글 : 구원실성 (九遠實成) 여래 (如來) 2011. 11. 24.
심종(心宗) 심종(心宗) 심종은 불심종(佛心宗)의 약칭이다. 불심이란 자애로 충만한 부처님의 마음이다. 불심은 중생의 마음가운데 본래 갖추어져 있는 불성을 말하는데 선종을 불심종 혹은 심종이라고도 한다. 관련글 : 선종 2011. 11. 24.